'아이고, 또?' 아침에 눈 뜨는 게 귀찮은 당신이라면
[이정희 기자]
'오늘, 당신의 하루는 어땠나요?'
이런 질문을 받으면 어떠세요. '그날이 그날이지 뭐', 아니면, '정말 환상적인 하루였어요.'?
특별한 이벤트가 없다면 우리는 매일매일의 '오늘'에 대해 대부분 어제와 다르지 않은 날이라고 생각하지요. 그래서 때로는 아침에 일어나 '아이고, 오늘 하루를 또 어찌 보내나?'라며 권태로운 마음이 앞서기도 합니다.
"오늘 뭐할까?" 아침에 눈 뜨는 게 설레는 소녀
이렇게 그날이 그날인 하루하루를 보낸다고 여기는 우리에게 캐나다 일러스트레이터 줄리 모스테드의 그림책 <오늘>은 좀 다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 오늘 |
ⓒ 크레용하우스 |
'우선 옷을 입어야지. 너는 어떤 옷을 입을래?' 한 페이지를 넘기면 옷들이 잔뜩 펼쳐집니다. '가죽 반바지, 예쁜 원피스, 뿔 달린 모자, 끈 달린 구두, 줄무늬 타이즈, 망토' 등등등. 옷의 스타일만큼이나 다양한 색감의 의상들이 '오늘'을 기다립니다.
'머리는 어떻게 하고 싶니?' '아침은 뭘 먹을까?', '너는 어떻게 갈래? 마치 '워크북'처럼, 이 그림책은 하나의 질문에 맞춰 수많은 선택지를 펼쳐놓습니다.
어떻게 할래? 한 장 한 장 넘기며 그림책 속 질문을 따라가다 보면, '그날이 그날'이라는 우리의 하루에 저렇게나 많은 선택지가 있었구나 새삼 감탄하게 됩니다.
'한 가닥으로 땋은 머리, 짧은 머리, 나비 모양 머리' 등의 수많은 선택지들 사이에서 결정이 어렵다 느끼기도 하지만, 잠시 나도 어린 시절의 나로 돌아가 마음에 드는 것들을 선택해 봅니다. 밀짚모자에 멜빵 반바지를 입고 빨간 장화를 신으면 천하무적이 아닐까요? 아니면 원피스에 날개까지 달고 끈 달린 구두는?
그림책 속 옷들처럼 다양하지는 않더라도, 매일 아침 '오늘 뭐 입지?'라는 고민도 이렇게 즐거울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 오늘 |
ⓒ 크레용하우스 |
하루 그냥 대충 입는 옷이나, 한 끼를 때우는 식사가 아니라, 그 모든 선택지가 그림책 속 놀이처럼 스스로 즐기는 것들이 된다면 지겨운 하루가 풍성한 나만의 하루로 변신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지 말고 / 미래를 바라지도 말라
과거는 이미 버려졌고 / 또한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다.
초기 불교 경전의 한 문장이라고 합니다. 오로지 '오늘'만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른바 '현존(現存)이지요. 하지만 그저 살던 대로 사는 걸 '현존'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심리학자 타라 브렉은 '지금 이 순간의 자신의 경험을 온전히 자각하고 있는 그대로 체감할 때 일어나는 깨어있고, 열려있는, 심지어 다정한 느낌'을 '현존'이라고 정의 내립니다.
이 정의를 그림책 <오늘>로 대신하면 어떨까요? 오늘 하루 뭐 하고 지낼까 하며 눈을 반짝이며 하루를 맞이하는 아이, 그 아이처럼 우리의 하루를 깨어 맞이한다면, 그 순간들이 모여 오늘을 사는 '현존'의 시간이 되지 않을까요?
▲ 학교 가는 길 |
ⓒ 노는 날 |
외딴곳에 사는 남매는 아직 동이 터오지 않은 이른 새벽에 학교로 출발합니다. 버스를 타야 하는데 그만 놓쳐버려요. 여기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버스를 놓친 남매, '너 때문이야!', '맨날 누나가....' 하면서 다투는 것도 잠시, 학교까지 같이 걸어가기로 결심합니다. 이들은 지름길로 가겠다며 다른 길로 접어듭니다.
처음에는 '고슴도치야, 너무 귀여워'하던 동생에게 '시간 없어, 서둘러 가야 해'라며 누나는 재촉하지요. 하지만 남매는 떠오르는 아침 해를 1열에서 직관하면서 슬슬 학교 가는 길이었다는 목적을 놓치고 맙니다. 그러다 학교로 가기엔 너무 늦어버린 남매. 이들은 고장 난 보트로 '힘내시오 꼬마선원' 하면서 항해 놀이를 하다 경찰 아저씨에게 들키지만, '학교 가야지'라는 말을 뒤로하고 정말 보트를 타고 도망을 쳐버립니다.
'오, 분노여, 오, 절망이여, 오, 원수 같은 내 나이여!'라며 시까지 읊어대며 우왕좌왕하는 배 위에서 한껏 기분을 내던 두 아이들은 자신들의 모험에 스스로 독려되어 고물상 담을 타 넘어갑니다. 그리고 그들의 모험에 동행하는 검은 개 한 마리도 만나게 되지요.
낡은 물건으로 가득 찬 고물상은 보물 찾기가 되고, 아이들과 숨바꼭질을 하는 경찰들은 그들의 여정을 모험 어드벤처로 만듭니다. 신이 난 아이들은 얼음장처럼 차가운 바다에 맨 몸으로 뛰어들어 물놀이를 즐기기까지 합니다.
▲ 학교 가는 길 |
ⓒ 노는 날 |
그래서, 우리도 오늘 하루 땡땡이치고 놀아보자는 거냐고요? 아이들처럼 땡땡이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상을 여행처럼'이라는 말이 있듯이 일상의 '변화'를 스스로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요? 아주 사소하게는 늘 다니던 길 대신 다른 길로 가보는 겁니다. 그러면 새로운 풍경이 '여행'처럼 나를 반길지도 모릅니다.
나이가 들어가며 가장 두려운 질병이 요즘 바뀌었다지요. 의학의 발달로 암 치료가 좋아지는 대신, 자신을 잃어가는 치매를 가장 걱정하게 됩니다. 그런데 학자들은 나이가 든다고 해서 꼭 머리가 함께 굳어지는 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우리의 뇌세포는 우리가 노력하는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 노력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익숙해지지 않음이라고 합니다.
우리의 뇌세포는 마치 도로를 뚫듯 자신이 학습된 내용들 사이를 연결하고 그대로 하려는 '습'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 습에 '반기'를 들고 새로운 길을 내면 뇌세포는 굳어지는 대신 새로운 '연결'을 만들기 위해 애쓴다고 하지요. 그게 바로 치매의 특효약이라네요.
굳이 치매를 운운할 것까지도 없이, 그저 우연히 접어든 낯선 길의 여유를 자신에게 허락해 보면 어떨까요? 우선 <오늘>과 <학교 가는 길>을 보며 익숙해진 '오늘'의 습관에서 자신을 깨워보는 것부터 해보는 겁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반도체 비상... 원전 10기 수도권에 세울 건가요?
- '채 상병 사건' 재검토 지시 직전, 군사보좌관-안보실 13번 연락
- 권영국 "'정의당 뭐하냐'는 의문 남겨... 그래서 폭망"
- 경북 신문들 보니 "경상도는 벌써 산유국 다 됐네"
- 미국 공화당, 왜 한국에 '전술핵 재배치론' 꺼냈나
- 백령도 태극기 40장이 국회 의원회관으로 간 까닭
- 나이 들면 어디서 살까... 60, 70대가 이구동성으로 외친 것
- 국힘 전대 룰 결정까지 9일 남아... "지도체제 변경도 상의하기로"
- [오마이포토2024] "국민의 명령! 국회는 응답하라!"
- 다시 밀양 희망버스... "전기는 눈물을 타고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