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고독사할 것”...부모·자녀 모두 부양한 60년대생 30% 고독사 우려

김지연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colorcore@naver.com) 2024. 6. 3. 16: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모·자녀 모두 부양한 ‘마처세대’
“돌봄 정책 방향, 미래 노인인 1960년대생 특성에 맞춰야”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1960년대생은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로 불린다. 이른바 ‘마처세대’로 불리는 이들 중 약 30%는 정작 자기 자신이 고독사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이사장 김용익)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월 8~15일 1960년대생(만 55~64세) 980명을 대상으로 웹·모바일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렇게 조사됐다고 밝혔다. 386세대로도 불리는 1960년대생은 모두 85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에 달한다. 710만명인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보다도 더 규모가 크다.

설문 응답자 10명 중 3명꼴인 29%는 본인이나 배우자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고, 부모가 있는 경우 44%가 월평균 용돈 73만원을 주고 있었다. 49%는 부모가 편찮아 돌봄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이 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4%는 자녀에게 월평균 88만원을 지급하고 있었다.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을 위해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한다고 답했다.

70%는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하고 있으며 90%는 “건강이 허락하면 계속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일하는 이 중 46%는 현재 일자리를 잃을까 불안해하고 있었다. 응답자 52%인 퇴직자 중에서는 54%가 재취업 또는 창업을 통해 일을 하고 있었다. 일하는 사람의 경우 평균 2.3개의 일자리를 갖고 있는데, 일을 하는 이유로 “아직 더 일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37%)” “가계의 경제적 필요(29%)” “일하는 삶이 더 보람(17%)” 등을 들었다.

응답자 상당수는 유독 노년 돌봄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가의 돌봄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응답자의 98%가 각각 “우리 사회에서 돌봄은 반드시 필요하다” “앞으로 돌봄 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이다”라고 밝혔다. 86%는 “노인·장애인·환자에게 국가와 사회가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지금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봤다.

노년에 돌봄이 필요할 때 원하는 곳으로 “살고 있던 집(52%)”이라고 답한 이가 가장 많았다. 58%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임종을 원하는 곳으로 46%가 “내가 사는 집”을 택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 비율은 30%로 낮다.

한편 응답자 30.2%는 스스로가 고독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렇게 걱정하는 비율은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에게서 49.9%로 높았다. 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1960년대생은 신체·문화·경제적으로 기존 노인 세대와 다르며 돌봄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인다. 2026년 3월에 시행되는 지역돌봄통합지원법 돌봄 정책 방향을 미래 노인인 1960년대생 특성에 맞춰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