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자녀 ‘이중부양’에 허리 휘는 60년대생…30% “고독사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모 세대인 1960년대생의 15%는 부모와 자녀를 모두 부양하는 '이중부양' 부담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년대생은 흔히 '마처세대'(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로 불리기도 한다.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자는 응답자의 15%로,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했다.
자녀의 부양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세대인 만큼, 응답자들은 대부분 노년 돌봄 문제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돌봄 정책 방향, 60년대생 특성에 맞춰 잡아 나가야”
부모 세대인 1960년대생의 15%는 부모와 자녀를 모두 부양하는 ‘이중부양’ 부담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3명 중 1명은 노년에 고독사 걱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8~15일 1960년대생(만 55~64세) 9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p)다.
‘386세대’로 일컬어지는 1960년대생은 모두 85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에 달한다. 710만명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보다 인구 규모가 더 크다. 60년대생은 흔히 ‘마처세대’(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세대)로 불리기도 한다.
설문 응답자의 29%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고, 부모가 있는 경우 44%가 월평균 73만원의 용돈을 주고 있었다. 49%는 부모가 편찮아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 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보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84%가 평균 2.0명의 자녀를 두었고, 이들 중 43%는 자녀에게 월평균 88만원의 경제적 도움을 주고 있었다.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자는 응답자의 15%로,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했다.
노후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해선 89%가 본인이라고 답했지만, 62%만 ‘현재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노후 준비 수단(복수 응답)으로는 국민연금 80%, 예금·적금·저축성 보험 56%, 사적연금 34%, 주식·채권 31% 등 순으로 나타났다. 퇴직 후 소득이 없지만 연금을 받지 못하는 ‘소득절벽’에 대해선 81%가 ‘걱정된다’고 했다.
응답자의 70%는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하고 있었으며, 90%는 ‘건강이 허락하면 계속 일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현재의 일자리를 잃을까봐 불안해하는 사람은 46%에 달했다.
퇴직자 중에선 54%가 재취업 또는 창업을 통해 일을 하고 있었다. 일하는 경우 평균 2.3개의 일자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일을 하는 이유로 ‘아직 더 일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한다’(37%), ‘가계의 경제적 필요에 의해서’(29%), ‘일하는 삶이 더 보람된다’(17%) 등을 꼽았다.
자녀의 부양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세대인 만큼, 응답자들은 대부분 노년 돌봄 문제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상당수는 국가의 돌봄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노년 돌봄이 필요할 때 원하는 곳은 ‘살고 있던 집’(5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58%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임종을 원하는 곳으로 46%는 ‘내가 사는 집’을 택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의 비율은 30%로 낮았다.
특히 응답자의 30.2%는 ‘스스로가 고독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렇게 걱정하는 비율은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에서 49.9%로 높게 나타났다. 유산 상속은 88%가 법적 상속자보다는 ‘나를 간병한 가족에게 더 많은 유산을 상속할 것’이라고 했다.
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1960년대생들은 신체적·문화적·경제적으로 기존 노인 세대와 다르다”며 “2026년 3월 시행되는 지역돌봄통합지원법의 돌봄 정책 방향을 미래 노인인 1960년대생의 특성에 맞춰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韓, 尹과 ‘헤어질 결심’ 대신 관계 회복…당정화합 지속되려면
- ‘이진숙 탄핵심판’ 방통위 파행 책임론 질의…“추천 않는 국회” vs “대통령 탓”
-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생중계 피했다…法 “법익 종합 고려해 결정”
- 고려아연, 일반공모 유상증자 철회 결정…“시장·주주 우려, 겸허히 수용”
- 한동훈에 등 돌린 20대 청년…73.2%는 “잘 못한다” [쿠키뉴스 여론조사]
- 네이버 AI 검색 서비스…광고에서 자유로울 수 있나요
- 암살드론 ‘모하비’, 포항 독도함서 첫 이륙 [쿠키포토]
- 올 상반기 내수기업 수출매출 코로나19 이후 첫 ‘역성장’
- 수능 D-1, 오늘 예비소집…수험생이 꼭 알아야 할 7가지 체크포인트
- 국힘, 李 공직선거법 재판 생중계 불허에 “존중하나 민주당에 유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