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가계대출 4.7조 급증…‘6월 숫자’도 겁난다

이아미 2024. 6. 3. 00: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대 은행 가계대출 703조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한 달 새 5조원 가까이 불어난 데다, 두 달 연속 상승세다. 주택 매매가 살아나면서 가계대출에 걸렸던 브레이크가 풀린 것이다. 올해 들어 기업대출 증가 속도가 빨라진 와중에 가계대출도 들썩이면서 부채 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30일 기준 702조7020억원으로, 4월 말(698조30억원)보다 4조6990억원 늘었다. 지난 3월 2조2238억원 줄었던 가계대출 잔액이 4월부터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증가 폭도 커지고 있다. 4월 증가율(4조4346억원)보다 확대됐을 뿐 아니라, 2021년 7월(6조2009억원) 이후 2년 10개월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세부적으로 가계대출에서 가장 비중이 큰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546조6111억원)이 전달보다 4조6208억원 늘었고, 신용대출(103조1260억원)도 3210억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은행업계에선 최근 가계대출이 다시 들썩이는 배경으로 되살아난 주택 매매를 꼽는다.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 심리에 주택 매매가 활발해지면서,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상당 부분 늘었다”며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주택 거래량은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부동산 거래 지표는 녹색불을 켰다. 한국 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는 지난 4월 4만4119호로 한 달 전(4만233호)보다 9.7% 증가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였던 지난해 말(2만6934호)보다 1.6배 늘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 역시 지난해 12월 1790건에서 올해 4월 4840건까지 증가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초 침체했던 주택거래가 올해 되살아나고 있다”며 “여기에 대출을 낀 주택 매수세가 살아나면서 가계대출도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부터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은행 재원으로 상당 부분 공급되고 있는 점도 잔액 증가세에 영향을 줬다. 디딤돌(구입)·버팀목(전세) 등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은 통상 연초에 자체 재원으로 공급돼 은행 가계대출 실적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이 재원이 소진되면 은행 재원으로 대출이 이뤄진다.

은행 가계대출 증가세가 불안한 것은 은행들이 ‘기업 모시기’ 영업경쟁으로 이미 기업 대출을 크게 늘려놔서다. 지난 30일 기준 5대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802조1847억원으로, 4월 말(796조455억원)보다 6조1392억원 늘었다. 지난해 12월 일시적으로 1조6109억원 감소한 이후 5개월 연속 증가세다. 대출 종류별로 중소기업 대출이 한 달 새 2조3970억원, 대기업 대출도 3조7422억원 증가했다.

정부가 가계대출을 억제하면서 기업대출 풍선효과가 나타났는데, 가계대출마저 몸집을 키우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선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빨라지면 대출 문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5대 금융지주는 연초 정부의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에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1.5~2% 수준에서 관리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대출 증가 폭이 커지면 은행권이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대출 가산금리를 올리는 등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얘기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조정을 받던 가계대출(잔액)이 증가세로 돌아섰다”며 “증가 속도가 빨라지면, 연체율이 늘고 부실 우려가 커질 수 있어 추세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아미 기자 lee.ahmi@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