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3기·SMR 1기 짓는다…두산에너빌리티 총력전
[한국경제TV 강미선 기자]
<앵커> 우리나라 전력 수급의 청사진이죠.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발표됐습니다.
차세대 원전인 SMR(소형모듈원자로)이 처음으로 포함됐고 대형원전 추가 건설안도 담겼습니다.
자세한 내용 산업부 강미선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강 기자, 이번 전력수급기본계획의 핵심은 역시 원전인가요?
<기자> 정부는 2038년까지 신규 대형 원전 3기(4.2GW)을 준공하고, 0.7GW SMR(소형모듈원자로) 1기를 설치해 2035년 운전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이렇게 되면 국내 가동원전 수가 지금 26기에서 2038년 총 30기가 됩니다.
신규 원전 건설이 전기본에 반영된 것은 2015년 신한울 3·4호기가 포함된 이후 9년 만입니다. 건설 규모도 1.5배 가량 큽니다.
참고로 전기본은 국내 전력 수요, 공급 계획이 담긴 뼈대입니다. 정부에서 2년마다 갱신하고요. 이번 11차는 2024년부터 2038년까지 전력수급 계획입니다.
<앵커> 신규 원전이 4기나 추가되네요. 탈원전 정책을 펼쳤던 지난 정부 시절과 판이합니다. 11차 전기본은 그럼 원전에만 편중된 건가요? 신재생 에너지는 어떻게 되나요?
<기자> 11차 전기본의 특징은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균형을 맞춘 겁니다. 9차엔 신재생, 10차 때는 원전에 집중됐던 '에너지 편중 현상'을 극복한 겁니다.
태양광과 풍력 설비 공급 계획을 보시면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크게 풍력과 태양광 두 개가 주를 이룹니다.
태양광과 풍력 설비보급을 2030년 기준 10차 때보다 6.2GW 늘린 72GW로 확대 수정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현재 태양광과 풍력 설비용량(23GW)의 3배가 넘습니다.
한국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 3배 확대 목표를 세웠는 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원전보다 풍력과 태양광 설비용량이 많은 건 원전은 24시간, 날씨와 상관없이 가동이 가능한 데 태양광과 풍력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용량을 크게 설치해도 원전만큼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앵커> 가장 최신 원전인 신한울 3·4호기 전체 사업비가 11조원이나 되지 않습니까? 대형 사업이 발주되는 것인데 어떤 기업들을 주목해야 할까요?
<기자> 업계에선 대형 원전 3기와 신규 SMR 1기의 사업 규모를 약 22조원으로 추산합니다.
엄청난 규모인데요. 주인공은 두산에너빌리티입니다. 기존 대형원전과 SMR의 주기기를 만들 수 있는 국내 유일한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SMR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국가는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 스페인, 중국, 러시아 7개국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원전 1기당 매출은 1조2,000억원 이상으로 업계에선 추정합니다.
대형 원전 3기를 모두 수주한다면 3조6,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국내에서만 창출할 수 있는 겁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현재 신한울 원전 3·4호기 원자로 등 주기기를 공급하고 있고 주설비 공사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 2019년 국내 업체 중 가장 먼저 미국의 SMR 설계 업체 뉴스케일파워에 1,400억원 지분 투자에 나섰고 핵심 기기인 원자로 모듈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 뿐아니라 현대건설, 삼성물산, GS건설 등 주요 원전 발전소를 짓는 건설사들도 덩달아 바빠질 전망입니다.
원전용 변압기 수요가 늘어나니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등 변압기 업체를 포함한 전력 인프라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비중도 늘린다고요? 어떤 기업들이 있을까요?
<기자> 먼저 풍력의 경우 두산에너빌리티도 원전 외에도 풍력 터빈 등을 제조하고 있고요.
풍력 타워 글로벌 1위 기업인 씨에스윈드, 국내에서 가장 크게 육상풍력 발전사업을 하고 있는 코오롱글로벌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태양광 모듈을 생산하는 업체는 한화큐셀과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고요. 국내 유일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OCI홀딩스도 빛을 볼 전망입니다.
강미선 기자 msk524@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