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의 미래]변화무쌍한 노들섬, '서울 랜드마크'로 재도약 시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 - '금단의 땅'을 품고 있던 용산이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한 세기가 넘도록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됐던 용산미군기지는 국민 모두의 공간인 용산공원으로 탈바꿈했고 대통령실 이전으로 대한민국 권력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며 개발 계획도 본격 시작됐다.
서울 중심에 위치한 인공섬 '노들섬'은 수년간 개발과 변화를 거듭해왔다.
1968년부터 한강개발계획이 시작되면서 노들섬의 모래는 강변북로를 세우는 데 쓰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제시대 다리 지지 시설에서 시작돼
사유지 거쳐 서울 한중심 인공섬으로
국내외 건축가 7인 경쟁, 최종작 선정
편집자주 - '금단의 땅'을 품고 있던 용산이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한 세기가 넘도록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됐던 용산미군기지는 국민 모두의 공간인 용산공원으로 탈바꿈했고 대통령실 이전으로 대한민국 권력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며 개발 계획도 본격 시작됐다. 역사와 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 확대 요구도 이어진다. 서울 한복판, 남산과 한강을 잇는 한강 변 '금싸라기 땅'임에도 낙후된 주거지를 여전히 품고 있는 문제도 있다. 서울이 권력과 기업,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도시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려면 용산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선이다. 그런 의미에서 용산은 한국 도시의 현재이자 미래다.
서울 중심에 위치한 인공섬 ‘노들섬’은 수년간 개발과 변화를 거듭해왔다. 2019년부터 복합문화공간으로 쓰이고 있던 노들섬을 오세훈 서울시장은 ‘글로벌 예술섬’으로 탈바꿈하겠다고 선언했다. 서울시는 노들섬을 뉴욕의 ‘베슬’, 스페인 세비아의 ‘메트로폴 파라솔’처럼 상징적인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국제설계공모를 받았다.
지지 시설에서 문화 공간이 되기까지
노들섬은 1916년 조선총독부가 한강인도교 건설 공사를 시작하면서 다리 지지 시설로 만든 인공섬이다. 당시 이름은 ‘중지도’였다. 광복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 이곳은 시민들이 찾는 유원지로 이용됐다. 1968년부터 한강개발계획이 시작되면서 노들섬의 모래는 강변북로를 세우는 데 쓰였다. 이때 훼손된 모래밭에 강물이 들어오면서 섬이 됐고,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다. 이듬해 한강개발관광(진흥기업)이 노들섬을 매입해 섬의 크기를 확장하면서 현재의 노들섬이 만들어졌다. 사유지였던 이곳을 2005년 서울시가 오페라 하우스 건립을 위해 매입했다.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펼치던 오 시장은 본격적으로 노들섬 개발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오페라 하우스 건설을 두고 막대한 비용, 생태계 보전 등 문제가 대두되면서 논란이 됐다. 이후 좌초를 거듭하던 개발 계획은 2011년 오 시장이 사퇴하면서 무산됐다. 전임 박원순 시장은 2015년부터 공모를 시작해 2019년 ‘노들섬 복합문화공간’이 완공됐다.
오 시장은 재임 후인 지난해 2월,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방안’을 발표하면서 공공 분야 디자인 혁신 시범 사업을 노들섬에 최초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서울에서 특색있고 상징적인 혁신 건축물을 짓기 위해 규제를 풀고 행정지원을 하겠다는 것이다.
노들섬, '제2의 베슬' 될 수 있을까
서울시는 지난해 4월 국내외건축가가 제출한 기획디자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올해 2월 국제설계 공모에 돌입했다.
노들섬 국제지명설계공모에 참여한 건축가는 총 7명이다. 해외 건축가로는 뉴욕의 랜드마크 ‘베슬’로 잘 알려진 토머스 헤더윅(영국), 스페인의 메트로폴 파라솔을 설계한 위르겐 마이어(독일) 아마게르 바케 소각장의 건축가 BIG(덴마크)가 있다. 국내에서는 ‘포라운드 테이블’을 설계한 강예린+SoA, 울릉도 코스모스리조트를 설계한 김찬중, 광진숲나루 전망대 ‘자라나는 숲’의 나은중·유소래, 구산동 도서관 마을을 건축한 신승수씨가 참여했다.
서울시는 최종 설계안을 선정해 시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설계 작업에 착수한다. 지상부는 기존 건축물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콘셉트로, 기단부는 한강 수위변화에 순응하는 입체 수변조망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또 수변부는 문화공연을 감상할 수 있는 수상 예술무대 등으로 구성한다. 내년 12월까지 미디어시설물, 수상예술무대 등을 조성한 후 2027년까지 공중보행로 및 전망대 등 중장기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총 공사비는 2557억원, 공사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8개월이 소요될 예정이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성 연락처만 100여개…세금만 70억 내는 남편, 성매매 중독자" - 아시아경제
- "하루에 7억 빼돌리기도"…김병만 이혼전말 공개 - 아시아경제
- "일본 카페서 핸드폰 충전하면 잡혀갑니다" - 아시아경제
- "한 달에 150만원 줄게"…딸뻘 편의점 알바에 치근덕댄 중년남 - 아시아경제
- "주연은 200억도 받는데" 3000원 안되는 시급 10% 삭감에 발끈한 中 단역배우들 - 아시아경제
- 암 치료에 쓰라고 2억 모아줬더니 새 집 산 20대…분노한 中 누리꾼 - 아시아경제
- "흠뻑 젖은 티셔츠 무려 12장"…공항서 딱 걸린 여대생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김치나 담가라"…10대 주짓수 선수, 동덕여대 시위에 악플 - 아시아경제
- 조종사들도 기다렸다가 '찰칵'…송혜교 닮았다는 中 여성 파일럿 - 아시아경제
- 버거킹이 광고했던 34일…와퍼는 실제 어떻게 변했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