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 두 가지
[김은미 기자]
'오늘도 희망과 절망 사이를 오가는 선생님들을 위한 위로와 치유의 심리학서'라는 책 소개 글이 마음을 움직였다. 교사들의 권위가 바닥으로 떨어진 지 오래다. 교사로 일하고 있는 친구들은 자주 하소연을 한다. 정년퇴직까지 버티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 책표지 <교사 상처> |
ⓒ 미류책방 |
정신과 교수 김현수가 교사들로부터 직접 들은, 그들이 받은 상처의 종류는 매우 다양했다. 제도로부터, 철학으로부터, 관계로부터 받은 교사들의 상처 가운데 상당 부분은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교육 제도나 시스템에서 오는 피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7쪽)이 안타깝다.
시스템이 바뀌기를 기대하는 일은 여전히 요원한 일인지 답답함을 금할 수 없다. 교사들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는 각자의 자리에서 분투하고 있다. 사회안전망이 부재한 가운데 개개인 스스로가 자기 자신을 지켜내야만 하는 나라에서 살고 있다. 교육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사회 전반이 그러하다. 슬픔이 차오른다.
교사들은 명백히 감정노동자이다. 무방비 상태로 무자비하게 휘두루는 상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보호막이 없다. 그들은 상처받을 걸 뻔히 알면서 교사로서의 권위를 내세워 엄하게 가르쳐야 하는지, 상처받지 않기 위해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을 보고도 모른 체 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체벌의 수위에 따라 자칫 아동학대자라는 오명을 뒤집어쓸 수도 있기에 늘 두려움과 위험에 처해있는 것이다. 게다가 교사를 무력하게 만드는 스몰 트라우마 역시 위협적이다. 동료 교사들이 무심코 하는 말, 관리자들이 혼내는 말, 학부모들이 교사를 신뢰하지 않는 말, 아이들이 막무가내로 부리는 투정 등이 교사에게는 다 스몰 트라우마가 되어 상처를 남긴다(54쪽)는 것이다.
아이들과 교사가 진리를 중심으로 만나 함께 뭔가를 깨닫고 공감할 때, 혹은 새로운 것을 발견할 때, 동시에 공명하는 경험을 할 때, 이때도 교사와 학생에게는 치유가 일어난다. 그리고 교사는 이런 상호작용을 통해 수업 안에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이 실현되었음을 깨닫게 된다.(170쪽)
교사들이 상처를 덜 받기 위해서는 교사 동료들 간의 연대를 더욱 공고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교사들 스스로가 미래의 불을 지피고 나르는 사람이라는 자긍심을 갖고, 그 불씨를 동료 교사들과 나눠 가짐으로써 스스로 존중받는 집단으로 거듭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이제 교사들도 자기 고백과 자기 개방을 해야 한다.
우리는 언제나 깨지고 상처받지만 또 치유받기도 한다. 행복에서 불행으로 갔다가 불행에서 다시 행복으로 돌아오기를 반복한다. 이렇게 복원할 수 있는 힘, 지금 우리 교사들에게는 이런 힘이 필요하다.
(245쪽)
무엇보다도 정체성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교사, 위로가 필요한 교사, 학생, 부모, 관리자로부터 무시당하는 교사가 아니라 아이들과 더불어 교단에 오르는 일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교사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교사들이 하루하루를 무시당하는 느낌과 싸운다는 느낌을 받지 않고, 교사로서의 삶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 앞에 위축되지도 말고, 교사로 첫 발을 내디뎠을 때의 벅참과 참다운 배움이 이루어지는 학교를 만들겠다고 무수히 다짐했던 순간들을 복기할 수 있기를 바란다.
교단에 서 있는 교사는 아이들로부터 환대 받아 마땅하다. 아이들의 성장을 위해 바른길을 알려주는 교사의 정체성이 훼손되지 않으면서 조건 없이 서로가 서로에게 손을 내밀어 주고 깊은 유대관계가 맺어지는 학교를 기대해 본다.
오늘도 교사들은 꿈을 꾼다. 교사로서 자기 정체성을 충분히 실현하면서 살고 싶다는 꿈, 교육 제도가 확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꿈, 아이들의 창의성을 살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으면 좋겠다는 꿈,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쉼터가 여기저기에 있는 학교였으면 좋겠다는 꿈, 입시를 위한 성적이나 진도에 구애받지 않고 내 나름대로 교육 과정을 재구성해서 수업하고 싶다는 꿈, 아이들이 내 말을 잘 들었으면 좋겠다는 꿈, 내가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꿈..... (266쪽)
행복한 날도 있고 불행한 날도 있는 것이 인생이지만, 작은 행복은 매일 필요하다. 교사들뿐만 아니라 우리들 역시 작은 행복을 만날 수 있는 소소한 기쁨을 찾아내려 노력하는 삶을 살아가면 좋겠다. 학교 안에 있는 사람들은 특히나 더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꿈을 꾼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직접 개입 정황...개인폰으로 이종섭에 3번 전화
- [단독] 국정원 요원 법정 증언 "쌍방울 자금, 북미회담 거마비 가능성"
- '이열종대' 행군해 국힘 몰려간 해병들 "더럽고 추악한 정당"
- 엄마의 정체를 숨겼던 딸들... 누가 이 비극 만들었나
- 기시다 부담 덜어준 윤석열...'굽신 외교', 속 터진다
- '카라' 동물학대 의혹에 후원중단 봇물... 폭로한 노조의 호소
- '질문금지'도 아니었는데, 대통령과 김치찌개만 먹은 기자들
- 실용이 최고인 시대, 인문학 없이 살 수 있을까?
- '윤석열 호위무사' 국민의힘, 그 끝은
- 아들까지 동원... 50대 아줌마의 '변우석 팬미팅' 도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