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쉬인’ 어린이용품 10개 중 4개 유해물질 초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이 판매하는 어린이용 제품 93개 중 40개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알리·테무·쉬인 등 중국 직구 제품 93개를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7차례 걸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은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사에 판매 중지를 요청했다.
판매 중지를 요청한 제품들은 재판매되고 있지 않지만, 해당 제품과 유사한 다른 제품이 온라인에 올라오고 있어 예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이 판매하는 어린이용 제품 93개 중 40개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알리·테무·쉬인 등 중국 직구 제품 93개를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7차례 걸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보행기, 학용품 등 어린이용 제품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어린이용 가죽 가방은 4종 모두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3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153배 검출됐다. 이 중 2개 제품은 중금속 함유량도 기준치를 넘었다. 4종 중 1종은 기준치 1.2배인 폼알데하이드가 포함됐다. 폼알데하이드는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주요 오염 물질이다.
어린이용 신발(2종)과 가죽 벨트(1종)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폼알데하이드가 초과 검출됐다. 신발 1개 깔창은 폼알데하이드 수치가 기준치 1.8배를 초과했다. 나머지 1개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수치가 기준치 428배 초과 검출됐다. 어린이용 가죽 벨트에서는 납이 안전 기준치의 1.78배를 넘기도 했다.
시는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은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사에 판매 중지를 요청했다. 판매 중지를 요청한 제품들은 재판매되고 있지 않지만, 해당 제품과 유사한 다른 제품이 온라인에 올라오고 있어 예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는 플랫폼사가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도록 협의 중이다.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시가 그간 판매 금지 요청을 한 제품은 모니터링 결과 다시 올라오고 있지 않다”며 “시민 안전 지키기 위해 식품 용기, 위생용품, 킥보드 등 규모 큰 제품까지 영역을 넓혀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보건환경연구원에 전문 검사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선고·김건희 특검법…정치이슈에 뒷전 된 ‘연금개혁’
- 올라가는 예금보호한도…‘수혜자’ 저축은행 ‘떨떠름’
- 섬마을 ‘전교생 1명’…졸업 앞둔 지미의 사진일기
- 실손 비급여 보장 횟수‧영역 제한 검토…보험료도 낮아질 듯
- ‘평균 10년’ 재건축 시계 빨라진다…정비사업 공급 속도전
- 한-페루 정상 ‘공동선언문’ 채택…전방위적 협력 확대
- 이재명 1심 징역형…한동훈 “사법부에 경의를 표한다”
- 수능 끝 연말 준비…‘얼리 크리스마스’ 대비하는 식품가
- 두 이닝 9득점 폭발…‘대역전승’ 한국, 놀라웠던 타선 응집력
- 진통 끝 배달 수수료 인하…‘조삼모사’ 합의 진통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