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참사’ 난 궁평2지하차도에 높이 4.3m 차수벽 설치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참사가 발생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한 총연장 520m의 차수벽이 설치된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27일 충북도청에서 재난안전관리 강화전략을 발표하고, 궁평2지하차도 차수벽 설치와 진입로 자동차단시설 설치, 지하차도 사전 예찰 4인 담당제 도입 등 세부 대책을 발표했다. 오송 참사는 지난해 7월 15일 오전 8시40분쯤 미호강에서 350여m 떨어진 궁평2지하차도가 물에 잠겨 시내버스 등 자동차 17대가 침수되고 14명이 숨진 사고다. 당시 미호강에 쌓은 임시제방이 터지면서 유입된 하천수가 차도 안으로 밀려들면서 참사로 이어졌다.
충북도는 지하차도 침수 예방을 위한 3중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우선 궁평2지하차도 앞·뒤로 최고높이 4.3m 차수벽을 내년까지 설치한다. 세종 방향 진출입로(274.5m)와 청주 옥산 방향(246.2m) 등 2곳(520.7m)이다.
신형근 충북도 재난안전실장은 “차수벽이 생기면 미호강이 범람하더라도 지하차도에 물이 들어오는 걸 최대한 지연할 수 있다”며 “설계를 마치는 대로 건립 예산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지하차도 안에 일정 기준 이상 물이 들어오면 진입로를 닫는 ‘자동차단시설’은 최근 설치했다. 터널 안 침수심 수위가 15㎝가 되면 차단 커튼이 닫힌다. 기존에는 침수심 높이가 50㎝에 이르면 관제실에서 지하차도를 통제했다.
김봉수 충북도로관리사업소장은 “수심이 15㎝가 되면 진입로 전광판에 진입금지 표시가 뜨고, 운전자가 못 보고 지나치더라도 차단 커튼이 내려와 진입을 막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자동차단시설은 궁평2지하차도를 비롯해 충북 관내 30개소에 설치 중이다.
지하차도는 민·관이 합동으로 사전 예찰한다. 궁평2지하차도 관제는 지금까지 관리 주체인 충북도로관리사업소가 맡았다. 올해부터는 충북도로관리사업소와 읍·면·동 관계자, 이·통장 자율방재단, 경찰관서 등 담당자 4명이 관리한다.
사고가 난 미호천교 일대는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준설이 이뤄진다. 우기(6월 21일~9월 20일) 전까지 미호강 고속철도교 일원 퇴적구간과 상류에 있는 석화천 등 6㎞ 구간에 퇴적토를 걷어낸다. 미호천교 신설에 따라 이뤄지던 신설 제방(1.68㎞) 공사도 6월까지 마무리한다.
지난해 7월 집중호우 때 월류(越流) 현상이 발생한 괴산댐은 운영 수위를 3m 정도 낮춘다. 홍수기 때 133m(기상특보 시 130m)로 유지하던 괴산댐 수위는 홍수기에 130m, 기상특보 발효 때 128.65m~119.65m로 낮춘다.
충북도는 지하차도·하천 준설·댐관리 대책을 포함해 이날 재난안전관리 강화전략으로 33개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안전시스템 강화 대책으로 AI(인공지능) 기반 119 신고접수시스템을 10월까지 구축한다. 이 시스템은 신고자와 대화 내용을 텍스트로 자동 변환해 응답자가 모니터로 바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서정일 충북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장은 “상황실 근무자가 신고자 음성을 듣고 상황을 접수하거나 전파하면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며 “신고 음성을 곧바로 문자화하면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권 기자 choi.jongk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0만원 다이슨 베끼고 당당하다…'4만원 짝퉁'의 노림수 | 중앙일보
- 차두리, 두 여성과 '내연 문제 고소전'…"아내와는 13년째 별거" | 중앙일보
- 헤어진 불륜녀에 “집 주겠다”…남편의 유언 못 막는 까닭 <下> | 중앙일보
- "호중이 형, 경찰 X밥 아냐…변호사가 안 알려줬어?" 경찰글 화제 | 중앙일보
- "아들이 먹던 김밥서 녹슨 칼날 나와…가게에선 진상 취급" | 중앙일보
- '파묘' 정윤하, 암 투병 고백 "1년 지나 재발…더 많은 생각 든다" | 중앙일보
- 박명수도 "남 가슴에 못 박지 마"…구독자 18만 날린 피식대학 | 중앙일보
- [단독]"CCTV 9대, 현관엔 없었다"…강형욱 해명에 PPT 반박 | 중앙일보
- "전세계 딱 100개뿐"…손흥민에 준 지드래곤 '한정판 선물' 정체 | 중앙일보
- 간병일 끊기고 알바는 잘렸다…의료공백에 엮인 '을의 눈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