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찍힌 돈과 손에 쥔 돈…‘소득 명세서’의 배신

이승녕 2024. 5. 24. 00: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에디터 노트.

고물가로 팍팍해진 살림살이가 통계로 다시 확인됐습니다. 올해 1분기 가구 월평균 실질소득이 3년 만에 줄었습니다. 소득명세서에 찍힌 숫자는 커졌지만, 물가가 더 많이 올라서 실제로 손에 쥔 수입은 줄었다는 얘기가 됩니다.

특히 여러 소득 항목 중에 ‘근로소득’, 즉 월급이 실질·명목 할 것 없이 감소했습니다. 소비 지출은 증가했지만 워낙 물가 자체가 비싸진 결과여서, 실제로 풍족하게 쓰고 살았다고 느끼는 사람은 적을 것 같습니다.

문제는 고물가·고금리입니다. 물가가 하향 안정돼야 지금 턱밑까지 올라온 금리도 내려갈 수 있을 텐데, 이게 쉽지 않습니다.

한국은행은 23일 금리를 11번 연속으로 동결했는데, 내리고 싶어도 내릴 수 없다는 게 맞는 표현일 것 같습니다. 우리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기대만큼 내려가지 않는 데다, 미국도 기준금리 인하가 조만간 이뤄질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그나마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자체는 회복되는 중입니다. 특히 반도체와 자동차 등 한국 핵심 산업은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오늘 정부가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총 26조원 규모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일본 등과 달리 현금 보조금 없이 금융 지원에 그친 것에 대한 비판도 나오지만, 최근의 성장 모멘텀을 살려 나가겠다는 정부의 목표는 뚜렷해 보입니다. 한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어려움을 겪고 회복될 때면 자산과 소득에 따라 양극화가 더 뚜렷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대기업 실적이 개선돼 수치상 성장률이 올라가더라도, 취약한 가구의 ‘실질 소득’이 회복되지 않으면 사회적 갈등은 더 깊어질 수 있습니다. 당국의 더 세심한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승녕 경제에디터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