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불닭 신드롬, 美 대선까지 영향 미치나? HLB 사태 등 K-바이오 악몽, 해외 시각은?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김채은 PD 2024. 5. 22. 08: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채은 PD]
연초부터 세계 76개국에서 선거가 숨 가쁘게 치러지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나온 선거 결과를 보면 인플레, 그중에서도 음식료 가격이 높으면 야당이 승리하는 것으로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요즘 뉴욕에서 가장 핫한 K-불닭면 가격이 오르면 트럼프 후보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시각까지 등장했고요. 반면에 HLB 사태를 계기로 재현된 K-바이오 악몽에 대한 해외시각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많아 오늘은 이 내용들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내일 이 시간이면 엔비디아 실적이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도 여전히 미 증시는 숨 죽이는 장세를 보이지 않았습니까?

- 엔비디아 실적 발표 하루 전 ‘폭풍 전야’

- 엔비디아, ‘연준 인사 데이’ 잠재우는 빅이슈

- 주식, 채권, 달러 가치, 비트코인까지 영향

- 엔비디아, 거래 미미…전일 종가에서 등락 반복

- 홍콩 H지수, 디지털 위안화 통용으로 2대 하락

- 디지털 위안화 통용, 결국 ‘달러 페그제’에서 탈피

- 정치에 이어 경제적으로도 ‘中 예속화’ 의미

- 이란 라이시 대통령 사망에도 국제유가 안정

Q. 지난달 우리도 총선을 치렀습니다만 올해는 유난히 선거가 많이 치러지지 않습니까?

- 2024년, 76개국에서 각종 선거 치르는 해

- 세계 경제 역사상 처음으로 있는 이례적인 일

- 정치적 거버넌스 문제, 경제 미치는 부담 확대

- 2024년, 76개국에서 각종 선거 치르는 해

- 세계 인구의 40…글로벌 시가총액의 60 차지

- 선거 결에 따라 각국 경제와 증시 명암 갈려

- 금권선거, 전 세계적으로 최대 2000조원 풀려

- 세계 경제, Policonomy=Politics+Economy 합성어

- 증시 종목별 명암, Policurity=Politics +security

Q. 우리도 총선에서 야당이 대승했습니다만 지금까지 처리진 주요국 선거에서는 정권이 교체되거나 야당이 승리하지 않았습니까?

- 올해 1~4월 선거, 종전과 달리 ‘야당’ 승리

- 최근 3년, G20개국 중 13개국 정권교체

- OECD 38개국 중 절반 이상 정권교체

- 유라시아 그룹, 인플레 정점 후 2년 정권교체

- 1970~2022년, 인플레 쇼크 57번이나 발생

- 그 이후 2년간 치른 선거의 76 ‘정권교체’

- 1996년 이후에는 80로 높아져…인플레 ‘최대 변수’

Q. 올해 예정된 76개국 선거의 피날레는 올해 11월 5일에 치러질 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인데, 역시 경제 문제가 최대 이슈이지 않습니까?

- 바이든 후보 인식 “美 경제 상황, 더할 나위 없어”

- 경제는 ‘boom-flation’·증시는 ‘bull market’

- 美 대통령 역사상 처음, 3대 지수 모두 최고치 경신

- 바이든 후보 인식 “美 경제 상황, 더할 나위 없어”

- 트럼프 후보 “美 경제, 1년 이내 망해야”

- 바이든을 대공황 초래한 ‘후버 대통령’에 비유

- "내년 1월 취임 이후, 루스벨트 대통령 될 것"

- 경제지표 측면, 바이든 후보의 인식이 맞아

Q. “뭘해도 된다”라고 할 정도로 美 경제는 좋습니다만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도가 올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집권당 경제성과 판단지표, MI=Misery Index

- MI, 실업률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더해 산출

- 실업률은 ‘완전고용’·CPI 상승률 ‘목표치 상회’

- 인플레 방화벽, 美 국민 경기회복 느끼지 못해

- 금리 인상, 주거비 상승 등으로 저소득층은 불만

- 파월, 바이든 후보 ‘불만’ vs 트럼프 후보 ‘교체’

- 식료품 가격 높은 주(州), 바이든 지지도 하락세

Q. 그래서인가요? 현재 뉴욕에서 가장 핫한 한국의 불닭볶음면 가격이 오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는데왜 이런 시각이 나오는 것입니까?

- 바이든의 운명, 인플레 중 식료품 가격에 달려

- 체감물가, 식음료·주거비·가솔린 순으로 민감

- 민주당 지지층, 중하위층일수록 식료품에 민감

- 바이든의 운명, 인플레 중 식료품 가격에 달려

- ‘7대 경합주’ 스윙 스테이트, K-푸드 열풍 확산

- K-푸드 중 韓 라면, 특히 불닭면 인기 핫해

- K-불닭면 가격이 오르면 트럼프에 유리

- 불닭면 등 좋은 식품 하나가 韓 국격까지 끌어올려

Q. 결국 올해 76개국 선거는 인플레, 그중에서도 식료품 가격이 선거 판세를 결정하는 제일 큰 요인이라는 건데 식료품 가격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 올해 기후 관련 인플레 신조어, 가장 많이 등장

- 슈퍼 엘니뇨 2년차, 이상기후 1년차보다 심각

- 인플레 관련 신조어

- agflation, vegeflation, sugarflation, fishflation, fireflation, Elninoflation 등

- 식료품 가격, 물가 목표치 도달이 가장 큰 변수

- 이상기후, 식물 바이러스, 공급망 차질 ‘주요 요인’

- 각국 보호주의와 지경학적 위험, 식료품 무기화

- 식료품 가격 안정, 쉽지 않을 듯…관련주 강세

Q. 이달 들어 뜨겁게 달구었던 HLB 사태를 계기로 K-바이오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해외시각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 HLB 사태 계기…‘K-바이오 악몽’ 되살아나

- 2019년 8월 신라젠, 임상실험 중단 권고로 폭락

- 연초 카나리아바이오, 임상실험 증단 권고로 폭락

- 'K-바이오 악몽' 반복…K-바이오 발전에 ‘최대 敵’

- HLB 사태, 해외에서는 크게 ‘4가지’ 문제

- 실적·개발인력·자금조달·경영진 도덕성 문제

- 유튜버가 합작한 과다한 기대와 쏠림투자 결과

- 韓 증권사, 인프라 투자 소홀…소수 애널리스트 횡포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김채은 PD c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