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속 용어]보유세 부과 핵심 잣대 '공정시장가액비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1주택자의 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난해 한시적으로 낮췄던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올해도 연장 적용하기로 했다.
재산세나 종부세 같은 보유세는 공시가격에서 기본공제액을 뺀 뒤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산출한 과세표준에 구간별 세율을 곱해 최종 결정된다.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09년 도입 후 2021년까지 60%로 유지되다가 공시가격이 급등한 뒤인 2022년 세 부담 완화를 위해 45%로 내린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1주택자의 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난해 한시적으로 낮췄던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올해도 연장 적용하기로 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과세 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시 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공시가격의 몇 퍼센트를 과표로 삼을지 결정짓는 잣대라고 이해하면 된다.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에 각각의 다른 비율로 적용된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종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일종의 할인 카드로 2009년 도입됐다. 재산세나 종부세 같은 보유세는 공시가격에서 기본공제액을 뺀 뒤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산출한 과세표준에 구간별 세율을 곱해 최종 결정된다. 이때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인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낮으면 세액이 줄어드는 구조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종부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95%까지 올리며 당초 도입 취지와 달리 보유세 부담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 비율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인 법정 최저한도인 60%까지 낮아진 상태다.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09년 도입 후 2021년까지 60%로 유지되다가 공시가격이 급등한 뒤인 2022년 세 부담 완화를 위해 45%로 내린 바 있다. 지난해에는 주택가액에 따라 3억원 이하 43%, 6억원 이하 44%, 6억원 초과 45%로 정했다.
올해 역시 이같은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연장 적용된다. 21일 국무회의서 의결된 지방세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재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은 1주택자의 경우 지난해처럼 43∼45%가 유지된다. 개정 법령은 이달 중 공포돼 즉시 시행된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러다 굶어 죽는다, 도와달라"...한국 모욕하고 다니던 유튜버 근황 - 아시아경제
- "미장보다도 훨씬 낫네"…작년부터 72% 급등, 천장 안보이는 '금값' - 아시아경제
- 부진한 실적에 직원들 급여 25억 깎고선…'수십억 연봉' 챙긴 강성희 회장[기로의상장사]오텍② -
- '서른에 2조원 벌었다'…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최연소 억만장자女 - 아시아경제
- "소금 줄이기보다 효과 크다"…혈압 낮추려면 '이 음식'부터 드세요 - 아시아경제
- 식당서 현금 426만원 든 가방 도둑맞은 여성의 정체…알고 보니 美 국토안보부 장관 - 아시아경제
- "불친절하고 비싸기만 한데 왜 가요?"…국내 관광 등 돌린 내국인들 - 아시아경제
- 강남서 테슬라 트럭·BMW에 발길질…잡고 보니 중국 관광객 - 아시아경제
- "집단주의 강한 한국인들"…재택근무 꼴찌에 美 연구진 분석 - 아시아경제
- "마통으로 버텼는데…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