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 언급에 뿔 난 동학개미
[한국경제TV 박승완 기자]
<앵커>
미국에서 들려온 공매도 재개 움직임에 대한 우리 시장 반응과 당국 입장 짚어보겠습니다. 증권부 박승완 기자 나왔습니다. 박 기자, 주식 시장부터 살펴보죠, 금감원장의 발언, 영향은 어땠습니까?
<기자>
뚜렷한 반응은 없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는 매도했지만 코스닥시장에서는 매수했구요. 외국인은 두 시장에서 개인과 정반대의 매매패턴을 보여줬습니다. 외국인 매수세는 장초반 꼭지를 찍더니 오후 들어 매도로 돌아섰는데요. 11시께 전해진 이란 대통령의 헬기 사고 소식이 변수였죠.
시끄러운 쪽은 댓글창이었습니다. '시스템을 만들고 공매도를 풀어야하는 거 아니냐', '대통령도 전산화 전까지 공매도 허용 안한다 했는데, 정부가 한 입으로 두말을 한다', '총선용이였던 게 너무 티 난다'는 등의 볼멘소리였는데요. 정부가 지난 11월 당시 공매도 금지를 결정하면서 내건 기한은 올해 상반기였죠.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올 초 업무보고때도, 이후 민생토론 때도 시스템 구축 전까지는 계속 금지할 것임을 강조해 왔습니다.
<앵커>
공매도는 동학개미들에게 항상 뜨거운 감자죠. 논란이 커지자 대통령실이 진화에 나섰고, 금융감독원 역시 해명을 내놨다고요?
<기자>
공매도 거래 재개는 금융위원회가 결정할 내용이라는 게 금감원 설명입니다. 실제로 지난 11월 거래 정지도 금융위 임시 회의를 통해 결정됐었죠. 금감원장 뿐만 아니라 금융위원장과 부위원장 등 금융위 위원들의 합의였습니다. 금감원에 권한이 없고, 현재 정해진 바도 없으며, 거래 재개 여부를 포함한 앞으로의 일정을 내놓아야 한다는 취지였다는 해명입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한국이 언제 공매도 거래를 재개할 지 궁금해합니다. 전세계 증시 중 유일하게 공매도를 막아놨기 때문이죠. 공매도 전산화 시스템을 완성하고 법적 근거를 만드는 일까지 마무리 지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텐데요. 차일피일 기약 없이 미뤄지는 공매도 거래 재개 시점이 관심인 이유죠. 글로벌 IB 입장에선 공매도가 헷지 기능을 담당하는 만큼 증시 밸류업을 위해 해외 각국에서 IR을 벌이는 정부로선 진퇴양난인 셈입니다.
<앵커>
어쨌든 공매도 금지를 마냥 이어갈 수는 없겠죠. 언젠가는 제한을 풀어야 할텐데, 과거 공매도 재개 때 주가 흐름은 어땠습니까?
<기자>
공매도의 순기능으로는 가격발견이 대표적이죠. 공매도가 금지되면 코스피 밸류가 높게 유지되는 효과가 생깁니다. 과거 데이터를 살펴봐도 공매도 거래가 다시 시작된 뒤 증시는 밸류에이션이 높으면 빠지고, 낮으면 올랐습니다. 결국 시장은 공매도 여부 보다는 전체 가치가 비싸냐, 싸냐는 장기적인 흐름에 따른다는 거죠.
지난해 11월 6일 이후 코스피 상승률은 15.78% 이전까지 공매도가 가능했던 종목들을 모은 코스피200과 코스닥150은 각각 17.42%, 10.92% 올랐습니다. 일년 뒤 코스피 상장사들의 영업이익 추정치로 따져본 12개월 선행 PER은 하락세를 그리다 공매도 금지 이후 바닥을 딛고 올라선 모습이죠. 현 시점에서 공매도가 가능해진다면 이전 추세가 계속되면서 증시가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이유입니다. 다만 이번 공매도 금지가 외부 충격 때문이 아닌 우리의 단독 결정이었죠. 과거 사례를 참고해 공매도 재개 이후를 예상하는 건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영상취재 : 김성오, 영상편집 : 권슬기
박승완 기자 pswan@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