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꿈꾸던 강속구 투수 장재영, 이제는 타격 전념

김효경 2024. 5. 19. 13: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타자 전향을 결정한 키움 히어로즈 장재영. 뉴스1

시속 150㎞대 강속구를 뿌린 키움 히어로즈 장재영(22)이 타자로 전향한다.

키움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장재영이 야수로 전향한다고 밝혔다. 장재영은 21일 이천구장에서 열리는 퓨처스(2군)리그에 지명 타자로 출전할 예정이다.

장재영은 2021년 1차 지명으로 키움에 입단했다. 계약금은 한기주(10억원)에 이은 역대 두 번째 최고인 9억원. 그만큼 장재영에 대한 기대는 컸다. 하지만 지난 4년간 제구력 문제로 결국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통산 1군 성적은 56경기 1승 6패, 평균자책점 6.45.

2019년 제29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에서 안타를 치고 나간 장재영의 모습. 연합뉴스

고교 시절 빼어난 타격솜씨를 보였던 장재영은 지난해부터 투타겸업에 도전했다. 호주 리그에서 투수와 타자로 모두 나섰고, 이번 스프링캠프에서도 투구와 타격 훈련을 모두 했다. 하지만 개막 이후 구속 감소를 드러내며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지난 1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 던진 게 유일했다.

결국 오른쪽 팔꿈치 인대의 70∼80%가 손상됐다는 진단을 받고 투구를 멈췄다. 키움 구단은 수술 대신 재활을 택한 장재영과 지난 7일 부상 치료를 논의하던 중 타자 전향을 제안했고, 장재영도 이를 받아들였다. 덕수고 시절 메이저리그 구단으로부터 관심을 받았던 장재영은 KBO리그에서 성공해 미국 진출을 꿈꿨지만,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됐다.

장재영은 덕수고 3학년 시절 장재영은 타율 0.353, 홈런 3개에 타점 21개를 올렸다. 고교 졸업 후 4년이 지났지만, 발도 빠르고 어깨도 강하다. 키움 구단은 타격과 수비 능력을 끌어올린다면 성공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청소년 대표팀에서도 매서운 방망이 실력을 보였다. 중학교 시절 유격수로 뛰었던 그는 구단에 유격수에 도전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했다. 키움은 빠른 적응을 위해 중견수와 유격수를 병행하자고 권했고, 장재영도 받아들였다.

홍원기 키움 감독은 19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리는 SSG 랜더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아무나 시속 150㎞를 던질 수는 없다"고 아쉬워하면서도 "본인이 심적으로 힘들어했다. 4년 동안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했는데 제구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 이번 팔꿈치 부상도 (타자 전향의)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전했다.

나란히 이도류에 도전했던 장재영(왼쪽)과 김건희. 장재영과 김건희 모두 이제는 야수로만 나설 계획이다. 고봉준 기자

반면 지난해 드래프트 1라운드 6순위로 입단해 투타겸업을 시도했던 김건희는 포수에 집중하기로 했다. 김건희는 이날 1군에 등록됐고, 9번 포수로 선발출전한다. 홍원기 감독은 "김건희는 야수로서, 고등학교 때까지 해왔던 포지션인 포수로 가기로 결정했다. 우리 팀의 미래, 공격력 좋은 포수 육성의 필요성 등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원주고를 졸업한 김건희는 투수로서 시속 140㎞ 후반대의 빠른 공을 던졌다. 3경기 2이닝 평균자책점 22.50. 타자로는 1군에서 9경기에 나와 타율 0.182를 기록했다. 올해도 퓨처스(2군)리그에서 투수와 타자로 모두 뛰었다. 그러나 투구(3경기 평균자책점 7.04)보다는 타격(타율 0.319, 1홈런 13타점)에서 더 좋은 성과를 내고 있었다.

팀 상황 역시 포수 기용의 이유다. 키움은 프로 2년차 김동헌이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해 김재현이 풀타임 출전하고 있었다. 홍 감독은 "김동헌의 부상이 김건희가 포수로 집중하는 데 큰 요인이 됐다. 김재현이 '괜찮다'고 말하지만 체력이 떨어진 게 경기에서 드러나 보완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