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도시2' 마동석은 경찰, 손석구는 빌런… 범죄자의 전형적 얼굴은?

최훈 한림대 심리학과 교수 2024. 5. 17. 1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훈의 이것도 심리학
영화 범죄도시2
영화 <범죄도시 2>를 본 적이 있다. 주인공은 내가 사랑하는 마동석 배우와 손석구 배우. 다수의 독자들이 아는 것처럼 마동석 배우는 경찰이고, 손석구 배우는 빌런이다. 그런데 이때 느끼는 묘한 이질감. 누가 더 빌런처럼 보이는가? (하하 사랑합니다, 마동석 배우님~)

‘관상 is science(관상은 과학)’라는 말처럼 우리는 겉모습으로 그 사람의 내면을 판단하려고 하고, 그 판단에 대해 지나친 확신을 갖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뭔가 폭력적이고 범죄를 밥 먹듯 저지르는 범죄자들도 겉모습을 보면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와 같은 생각을 진지하게 연구한 과학자도 있다.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이라는 사람이다. 골턴은 범죄자의 전형적인 얼굴을 알아보고 싶어 했다. 그가 선택한 방식은 합성. 수배 전단지에 나온 악독한 범죄자의 얼굴들을 모두 합성하면, 아주 포악하게 생긴 범죄자의 전형적인 얼굴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요즘 같은 기술력이 없던 시절, 노력에 노력을 더해 범죄자의 합성 얼굴을 구했다. 그런데 여기서 엄청난 반전이 생긴다. 가장 전형적인 범죄자의 얼굴이 나올 것이라던 골턴이 믿음과는 달리, 너무나도 ‘샤방’한 꽃미남이 나왔던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이 결과를 두고, ‘그치, 사기꾼은 보통 잘 생기기 마련이니깐, 몇몇 꽃미남 사기꾼이 평균을 끌어 올렸을 거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외모가 매우 빼어난 사기꾼이 있기는 했다.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Catch me if you can)>의 실제 모델이었던 프랭크 애버그네일이나, 폰지 사기의 창시자(?)인 찰스 폰지도 매우 수려한 외모를 자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건 지극히 일부의 사례.(사실 저 두 사기꾼도 내 눈에는 수려한 외모로 보이진 않는다) 실제 사기꾼들의 외모는 평범한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너무 수려한 외모를 가진 사람이 나에게 너무 좋은 조건을 이야기한다면, 경계부터 하지 않을까?

사실 골턴의 작업이 실패로 돌아간 가장 큰 이유는 합성이라는 방식에 있다. 희한하게도 많은 사람들의 얼굴을 합성한 결과는 대체로 꽃미남, 꽃미녀가 나온다. 길거리에서 섭외한 평균 정도 수준의 외모 매력을 가진 사람들의 얼굴도 대략 30장 이상을 합성하면 연예인 못지않은 얼굴이 된다.

그런데 내가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는 ‘왜 범죄자의 얼굴을 합성했더니 꽃미남이 나오는가’에 관한 것이 아니다. ‘범죄자의 전형적인 얼굴’을 찾고 싶어한 우리의 마음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골턴은 사실 악명 높은 연구자다. 진화론을 창시한 찰스 다윈의 사촌으로,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명성 높은 연구자였던 것은 사실이지만, 골턴은 우생학을 창시해 서구 사회에 큰 상처를 남긴 것으로 더 유명하다. 우생학은 인류를 유전학적으로 개량할 것을 목적으로 여러 조건과 인자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지능이 환경보다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면, 인류가 더 좋은 지능을 갖기 위해 좋은 지능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을 늘리고, 나쁜 지능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줄이자는 것이다. 이런 우생학은 독일의 나치즘과 만나 큰 사고를 치게 된다.

골턴이 범죄자의 얼굴을 찾아내려고 한 것도 범죄를 저지르는 악성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을 구분하고 싶었고, 그 악성 유전자를 얼굴에서 발견하고 싶었던 욕심이었다. 하긴,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유전자를 지닌 사람들을 얼굴로 구분할 수 있다면 우리는 범죄자로부터 미리 대피할 수 있으니, 골턴의 시도가 가치 있다고 느끼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범죄자의 유전자가 있다고 모두 범죄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코패스 뇌 과학자>의 저자인 제임스 팰런은 유명한 뇌 과학자다. 하지만 어느 날 우연히 본인의 뇌 사진을 보고 사이코패스의 특징이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실제 그의 족보를 살펴보니, 섬뜩한 독재자나 연쇄 살인마까지 있었다고 한다. 정말 타고난 범죄자 집안의 일원. 하지만 그는 멀쩡한 뇌 과학자로 잘 살고 있다. 그리고 그 뒤에는 그를 정상적인 시민으로 만들어 준 부모의 노력이 있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범죄자들의 범죄 행위에 대해 환경 탓을 하며 너그럽게 이해해야 함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범죄 행위에 대해서는 모두가 엄하게 벌을 받아야 한다. 단지 우리가 얼굴로, 유전자로, 또 어떤 하나의 특징으로 한 사람의 모든 것을 알아낼 수 있다는 믿음은 버릴 필요가 있지 않을까? 우리 모두는 하나의 특징으로 평가받기에는 너무나도 복잡하고 소중한 존재이니 말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