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희진 "뉴진스 차별" 방시혁 "한사람 악의"…판사 첫 질문은 의결권

문현경 2024. 5. 17. 16: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5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입장을 밝히는 민희진 어도어 대표(오른쪽 사진). 왼쪽 사진은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 [중앙포토·연합뉴스]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법정에서 어도어 경영권을 놓고 대리전을 벌였다. 지난달 22일 모기업 하이브가 민 대표 등 어도어 경영진이 걸그룹 뉴진스를 데리고 독립을 시도한다며 감사에 착수하면서 촉발된 갈등이 법정 공방으로 이어진 것이다.

17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50부(수석부장 김상훈)는 민 대표가 하이브를 상대로 낸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 신청 심문기일을 열었다. 민 대표나 방 의장은 직접 법정에 나오진 않았고 법무법인 세종과 김앤장 법률사무소 양측 변호사만 여럿씩 나왔다.

이번 가처분 사건엔 민 대표의 대표직이 걸려 있다. 31일로 잡힌 어도어 주주총회에선 민 대표에 대한 해임 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보이는데, 어도어 지분의 80%를 가진 최대주주인 하이브가 의결권을 행사하면 민 대표를 해임할 수 있다. 반대로 하이브가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면 민 대표는 계속 대표로 있을 수 있다.


‘뉴진스 부당대우’ 있었나…“포뮬라? 모호한 소리”


어도어의 뉴진스(위)와 빌리프랩의 아일릿(아래). 어도어와 빌리프랩은 모두 하이브 산하 레이블이다. 유튜브캡쳐
민 대표를 대리하는 세종 변호사들은 뉴진스 데뷔 전 상황부터 시작했다. “하이브는 민 대표에게 첫 걸그룹을 만들자며 영입했는데 이를 어기고 르세라핌을 냈다”며 “르세라핌이 민 대표의 걸그룹이 아니란 게 밝혀질까봐 뉴진스 데뷔 전 홍보도 제한했다”는 주장이다. 하이브 산하 다른 회사에서 만든 아일릿이 뉴진스를 따라했단 주장을 할 땐 프리젠테이션에 온라인 커뮤니티 글과 다수의 연예뉴스 기사를 띄웠다.

반면에 하이브를 대리하는 김앤장 변호사들은 “민 대표가 먼저 뉴진스 데뷔 순서는 상관하지 않겠으니 내 레이블의 첫 번째 팀으로 뉴진스를 가져가고 싶다고 했다”며 “(아일릿이 따라했다는) ‘포뮬라’나 ‘톤앤 매너’는 의미도 모호하고 불명확하며, 아일릿의 기획안을 보면 ‘not 뉴진스’를 표방하며 적극적으로 차별화 전략을 구상했던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다.


민희진 측 “불리한 노예계약” VS “1000억 이상 현금보상”


(지난 1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에 나온 방시혁 하이브 의장. 뉴스1
지난해 3월 두 사람이 맺은 주주 간 계약은 다툼의 근원이자 표면이다. 민 대표 측은 이 계약이 민 대표에게 불리하게 짜였다고 주장했다. ‘본 계약이 존속하는 한 경업금지(競業禁止) 의무를 부담한다’와 ‘주식을 보유하는 한 계약이 존속한다’를 결합하면, 풋옵션을 100% 갖고 있지 않은 민 대표로선 동의 없인 영구히 경업금지 의무를 지는 게 아니냔 거다.

하이브 측은 “어도어에 한 푼도 투자하지 않은 민 대표에게 경영권을 주고 1000억원 이상의 현금 보상을 했다”며 “경업금지 조항은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방시혁 의장의 탄원서 내용을 일부 공개하기도 했다. 방 의장은 탄원서에서 “아무리 정교한 시스템도, 철저한 계약도 인간의 악의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한 사람의 악의에 의한 행동이 시스템을 훼손하는 일은 있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부모님이 먼저 문제제기” VS “‘뉴진스맘’의 가스라이팅”


'어텐션' 뮤직 비디오 촬영지에서 뉴진스 멤버와 민희진 대표가 함께 찍은 사진. 왼쪽부터 해린, 민지, 혜인, 하니, 다니엘, 민 대표. 사진 민희진 제공
하이브 측은 “민 대표의 관심은 자신이 낳은 것 같다고 하는 뉴진스가 아니라 오직 돈이다”며 비판을 심화했다. “민 대표는 뉴진스 멤버들이 공연할 때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말하도록 단단히 교육한다고 한다”며 “민 대표는 아티스트가 수동적 역할에만 머무르길 원하며 일종의 가스라이팅을 ‘모녀 관계’로 미화하고 있다”라고도 했다.

뉴진스 멤버의 부모들은 현재 민 대표의 편이다. 재판부에 민 대표와 함께하겠다는 탄원서도 냈다. 이에 대해 김앤장은 “민 대표는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부모님들을 분쟁의 도구로 이용한다”고 의심한다. 세종은 아일릿의 뉴진스 카피 등 하이브의 만행에 화난 부모님들이 민 대표에게 하이브에 항의해달라 한 것이지 민 대표가 부모님들을 움직인 게 아니라고 했다.


뜸해진 뉴진스 활동? “껍데기 만드려고” VS “투어 준비”


뉴진스의 선공개곡 '버블껌'은 일본 샴푸 CM송으로 사용됐다. 사진 오리콘 유튜브
민 대표가 하이브로부터 독립하여 어도어의 경영권을 가지려 했다는 이른바 ‘경영권 탈취’ 논란이 이번 전쟁의 시작이다. 김앤장은 민 대표가 어도어의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해 일부러 올해 뉴진스 활동 수준을 낮췄다고 주장했다. 주주 간 계약상 민 대표의 풋옵션 행사금액은 직전 2개년치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한다. “2023년과 2024년의 영업이익이 충분히 좋으니 2025년 초 풋옵션을 최대한 땡기고” “이제부터는 어도어 가치를 떨어뜨려 풋옵션 행사로 받은 1000억원으로 회사를 싸게 삼켜버린단 계획”이란 해석이다.

이에 민 대표 측은 “뉴진스는 당장 앨범 발매가 일주일 남았고 도쿄 돔 팬 미팅, 내년 월드 투어가 예정돼 있다”며 “뉴진스는 데뷔한 지 2년밖에 되지 않아 하나의 투어를 완성할 만한 히트곡이 부족해 올해 앨범 발매 후 내년에 투어를 할 수 밖에 없어 올해는 투자 관점에서는 저점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5년간 대표직 유지 계약” VS “무속경영 등 해임 사유 여럿”


지난달 25일 민희진 대표가 연 긴급기자회견. 뉴스1
양 측이 날 선 공방을 마친 뒤 재판장의 첫 질문은 ‘의결권 구속계약’에 대한 거였다. 두 사람 간 계약엔 ‘하이브는 민희진이 5년간 어도어 대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결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 민 대표 측은 이것이 하이브가 이와 달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조항이라 보지만, 하이브 측은 주주 간 이런 계약이 있다 한들 의결권 행사는 제한되지 않는단 내용이 상법 교과서에 있다고 말했다.

하이브 측은 계약서의 다른 부분에 주목한다. 민 대표가 ▶정관·법령을 위반하거나 ▶ 업무 수행에 중대한 결격사유가 있거나 ▶주주 간 계약의 중대한 위반을 하면 사임을 요구할 수 있게 돼 있는데, 민 대표가 ▶배임·횡령 ▶무속경영 및 직장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성 비하 발언 ▶영업비밀 유출을 했기 때문에 각 조건이 충족된다는 주장이다.

이날 1시간 30분 가까이 이어진 심문기일에도 못다 한 주장은 서면으로 보완한다. 24일까지 양측이 필요한 자료를 내기로 해결과는 일러야 25일 이후에나 나올 수 있다. 다만 재판부는 “31일에 주주총회 한다고 하셨으니 31일 전에 내도록 노력하겠다”며 늦어도 30일까지는 결정할 의지를 밝혔다.

문현경 기자 moon.h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