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샛별]⑨부승찬 "부당함 못 참는다…대통령실 이전, 국정조사 추진할 것"

공병선 2024. 5. 17. 07: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 22대 국회에 입성하는 초선 의원은 131명이다. 2000년 16대 국회 때 112명 이후 최저치다. 국민은 여소야대 구도 속에서 이들이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주도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22대 국회에 새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당선인을 소개한다. ①박지혜 ②고동진 ③곽상언 ④박수민 ⑤박충권 ⑥서명옥 ⑦임미애 ⑧최은석 ⑨부승찬

"워낙 인생의 전환점이 많았습니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은 자신의 인생을 속된 말로 '빌빌거렸다'고 소개했다. 남들처럼 군대 경력 20년을 채우지 않고 정치권에 뛰어들어 연금을 받지 못한다. 정년과 해외연수, 좋은 자리가 보장된 국방부 대변인으로도 들어갔지만, 천공 한남동 관저 방문 의혹 폭로와 엮이면서 이 역시 그만두게 됐다. 하지만 부 당선인은 후회하지 않는다며 "부당함 앞에서는 참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14일 국회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부 당선인은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93년에 임관해 약 20년 동안 군 생활을 했다. 그가 군인으로 살게 된 것은 6·25 전쟁 참전 용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부 당선인은 "아버지는 저의 형을 군인으로 만들고 싶어했지만 형은 신체적 조건을 이유로 사관학교에 들어가지 못했다"며 "둘째는 꼭 군인으로 만들어야겠다는 아버지의 의지와 가난했던 가정환경이 결부됐다"고 말했다.

공군사관학교 생활이 쉽지만은 않았다고 한다. 시간에 맞춰 먹고 교육하는 생활이 마치 닭장 속에 있는 것 같았다. 다만 그 속에서 의정활동에 도움 될 만한 여러 경험을 했다. 부 당선인은 "군인 때 북한 위협과 관련된 정보 등을 다뤘다. 의정활동에 있어 냉철하게 판단한 후에 분석하고 대안을 만들어내는 게 몸과 머리로 체득돼 있다"며 "사령관 등 앞에서 브리핑했던 경험도 있어 국민들에게 의정활동을 잘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부 당선인은 지난해 2월 천공의 한남동 관저 선정 개입 의혹을 제기하면서 정치 공방의 소용돌이에 빠졌다. 그가 폭로하게 된 배경에는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되고 4일 만에 와서 국방부 청사를 비우라는 게 민주주의 국가에서 가능한 건지 생각했다"며 "부당한 권력의 스피커는 되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압수수색부터 시작해 힘들긴 했지만 거짓된 것도 아니고 떳떳함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軍 출신 부승찬, "국토 수호에는 실수 있어선 안 된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14일 국회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부 당선인은 사진 촬영을 어색해하는 등 초선 티가 났다. 하지만 군인 출신으로서 윤 정권의 안보 정책에는 강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균형감 있는 안보 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부 당선인의 지적이다. 그는 "안보라는 수레가 있다면 한쪽 바퀴는 대화와 협력, 한쪽 바퀴에서는 국방력 강화가 굴러가야 한다"며 "대화와 국방력 강화가 조화를 이뤄야 국가 안보가 지켜지는데 윤 정권에서는 그런 게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과거 냉전 시대는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이라는 양극 체제였다면 지금은 다극 체제"라며 "현재 미국은 모든 국가의 안보를 책임지기보다는 실용적 안보관을 펼치는데 윤 정권의 미국에 대한 의존도는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부 당선인이 22대 국회에서 활동하길 원하는 상임위원회는 국방위원회다. 그는 "군검찰로부터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국방위 활동이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면서도 "국방위로 가서 무너진 국방을 다시 바로잡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말 국방부에서 군 정신교육 교재에 '독도 영유권 분쟁'이란 표현을 넣은 것을 언급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 영토 수호에는 실수가 있어선 안 된다.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데 신원식 국방부 장관 등이 반드시 책임지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된 국정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 당선인은 "대통령의 모든 행위는 문서로만 할 수 있는데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신분으로 국무회의의 의결도 없이 대통령실을 옮겼다"며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 정부조직법, 국가재정법, 국방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등을 어겼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군대 내 존재하는 잘못된 구조도 고치고 싶다고 밝혔다. 부 당선인은 "채 상병 사건에서도 드러났지만 견제받지 않는 군 사법부에 대한 개혁 입법을 추진할 것"이라며 "2027년까지 여군의 비율을 높인다는데 여성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조직이 국방부나 합동참모본부 등에 없다. 군대는 여전히 남성의 가치만 존중받는 곳인데 이런 문화를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