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美 주식 '직접투자' 평가액 사상 첫 100조 돌파

오유교 2024. 5. 17. 06: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직접투자 자산가치가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17일 국민연금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올해 1분기 '13F(1억달러 이상 기관투자가 지분 보유 공시)'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1분기 말 미국 주식 직접 투자 자산가치는 833억달러(약 112조원)였다.

한편 국민연금이 최근 홈페이지에 공시한 지난 2월 말 기준 해외주식 자산가치는 총 351조원이다.

이는 직접투자에 위탁운용, 미국 외의 다른 외국 주식 보유분을 모두 합친 금액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 분기보다 16%, 1년 전 대비 52% 증가
1년간 M7 보유량, 각각 최소 5% 이상↑
1분기에만 41개 종목 대거 신규 편입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직접투자 자산가치가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불과 1년 만에 50% 넘게 불어났다. 보유 비중이 가장 높은 종목도 처음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로 바뀌었다.

17일 국민연금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올해 1분기 '13F(1억달러 이상 기관투자가 지분 보유 공시)'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1분기 말 미국 주식 직접 투자 자산가치는 833억달러(약 112조원)였다. 4개 분기 연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1년 전의 549억달러(약 74조원)와 비교하면 약 38조원(52%) 증가했다. 직전 분기(718억달러·약 97조원) 대비로는 약 15조원(16%)이 불어났다.

MS, 사상 첫 비중 1위…엔비디아는 5위→4위

자산가치가 많이 증가한 이유는 미국 증시의 활황과 적극적 매수 덕분이다. 2023년 3월 말부터 2024년 3월 말까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0%, S&P500지수는 28%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나스닥 지수는 34% 올랐다. 국민연금은 이 기간 상승장을 이끈 '매그니피센트 7(M7, 애플·마이크로소프트·구글 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을 집중 매수하며 자산을 불렸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 아마존, 테슬라는 주식 보유량이 1년간 10% 이상 증가했다. 애플과 메타, 구글도 각각 5% 이상 늘었다.

올해 1분기에도 국민연금은 M7의 보유량을 모두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적게 늘린 것은 1.6%가 증가한 애플이다. 가장 많이 증가한 종목은 테슬라(2.58%)였다. 각각의 종목에 대한 순매수 규모 자체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주가의 희비가 엇갈리면서 포트폴리오 순위가 바뀌었다. 자산 비중에서 MS(5.70%)가 애플(5.13%)을 제치고 처음으로 최다 보유 종목으로 등극했다. 애플 주가는 직전 분기보다 11% 하락한 반면 MS는 12% 올랐다. 국민연금의 SEC 자료가 공시되기 시작한 2014년 3분기 이후 MS가 1위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애플은 2016년 3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30개 분기 연속 1위였다. 같은 기간 82%(495달러→903달러) 상승한 엔비디아(4.34%)는 아마존(3.11%)을 제치고 5위에서 4위로 올랐다. 아마존은 한 계단 하락했다. 3위는 4.89%의 비중을 차지하는 PBUS 상장지수펀드(ETF)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미국 지수와 S&P500지수를 추종한다.

린데피엘시·액센추어 등 신규 편입…IT 비중 소폭 증가

1분기에 신규 편입한 종목은 41개였다. 평가액 기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린데피엘시다. 3억8256만달러를 사들였다. 세계 최대 산업용 가스 회사다. 그다음으로는 경영 컨설팅 회사인 액센추어(3억7902만달러)를 많이 담았다. 이 밖에 의료기기 글로벌 매출 1위 회사인 메드트로닉과 손해보험사 처브 리미티드, 자동차 반도체 기업 NXP반도체, 보험중개회사 에이온 등을 각각 1억달러 이상 사들였다. 섹터별 비중 변화는 미미했다. IT가 28.56%로 전 분기(28.27%)보다 소폭 증가한 1위였다. 금융(18.68%)과 헬스케어(10.6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국민연금이 최근 홈페이지에 공시한 지난 2월 말 기준 해외주식 자산가치는 총 351조원이다. 이는 직접투자에 위탁운용, 미국 외의 다른 외국 주식 보유분을 모두 합친 금액이다. 국내 주식 보유평가액은 147조원이다. 1988년 기금 설정 이후 지난해까지 해외주식의 연평균 수익률은 11.04%, 국내 주식은 6.53%였다. 최근 3개년(2021~2023년)의 '기간 수익률'로 좁히면 해외 11.96%, 국내 0.21%로 격차가 더 벌어진다. 올해 계획된 자산 배분 비중은 국내 주식 15.4%, 해외주식 33%이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