칫솔 ‘여기’ 두면 한 달 만에 ‘황색포도상구균’ 득실… 위생 취약

이해림 기자 2024. 5. 14.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욕실은 대부분 화장실을 겸한다.

변기가 있는 욕실에 보관된 칫솔 20개와 변기가 없는 욕실에 보관된 칫솔 20개를 대상으로 칫솔모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변기가 있는 욕실에 보관한 칫솔에서만 사용 한 달 만에 황색포도상구균과 뮤탄스균이 검출됐다.

바람이 잘 통하는 창가에 두는 게 가장 좋지만, 굳이 욕실에 칫솔을 두고 쓰고 싶다면 변기와 최대한 먼 곳에 배치한다.

 한편, 칫솔꽂이 하나에 칫솔 여러 개를 보관하는 집이 많지만, 그러지 않는 게 좋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 욕실은 대부분 화장실을 겸한다. 욕조와 세면대 옆에 변기가 있는 식이다. 양치질하고 난 후에 칫솔을 세면대 근처에 걸어두곤 하지만, 사실 위생적으로 그리 좋지 않다. 

변기가 있는 공간에 둔 칫솔은 쉽게 오염된다. 변기 물을 내릴 때 세균이 공기 중으로 퍼지기 때문이다. 인도 치과 연구 저널에 관련 연구가 실린 적 있다. 변기가 있는 욕실에 보관된 칫솔 20개와 변기가 없는 욕실에 보관된 칫솔 20개를 대상으로 칫솔모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변기가 있는 욕실에 보관한 칫솔에서만 사용 한 달 만에 황색포도상구균과 뮤탄스균이 검출됐다. 석 달 후에는 대장균까지 발견됐다. 

사용한 칫솔은 화장실 밖에 두는 것이 좋다. 박테리아와 곰팡이는 습하고 축축한 곳을 좋아하므로 욕실 서랍이나 밀폐용기 같은 곳에 칫솔을 넣거나 꽂아두지는 말아야 한다. 바람이 잘 통하는 창가에 두는 게 가장 좋지만, 굳이 욕실에 칫솔을 두고 쓰고 싶다면 변기와 최대한 먼 곳에 배치한다. 칫솔 소독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소독기도 오래 쓰면 세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한다.

양치질을 하기 전에 칫솔모를 뜨거운 물에 살균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가장 뜨거운 물에 약 30초간 헹구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데 일부 도움을 준다. 양치가 끝난 후에는 깨끗한 손가락으로 칫솔모 사이를 벌리고, 흐르는 물로 모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후 또다시 30초간 뜨거운 물로 칫솔모를 헹궈 마무리하면 된다. 

한편, 칫솔꽂이 하나에 칫솔 여러 개를 보관하는 집이 많지만, 그러지 않는 게 좋다. 칫솔모끼리 닿으면 교차 오염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한 칫솔의 미생물이 다른 칫솔로 옮겨가는 것을 교차오염이라 말한다. 칫솔을 여러 개 보관할 때는 칫솔모끼리 닿지 않도록 최소 5cm 이상 떨어뜨려 둔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