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짓눌러 박살’ 광고에 ‘여론 박살’난 애플 결국 사과

김경택 2024. 5. 13. 00: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애플의 신형 아이패드 프로 광고(사진) 논란이 예술 조롱에 이어 표절 의혹으로까지 번졌다.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뒤처진 데다 사법 리스크까지 안고 있는 애플의 조급함이 이번 논란을 자초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애플은 지난 7일(현지시간) 아이패드 프로를 출시하면서 1분짜리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엑스(옛 트위터)에 광고 영상을 올리면서 "이 제품을 사용해 만들 모든 것을 상상해 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악기·물감 등 짓뭉개는 장면 역풍
비난 쇄도하자 사과… 방송 않기로
“16년 전 LG폰 광고 표절” 지적도
AP뉴시스

애플의 신형 아이패드 프로 광고(사진) 논란이 예술 조롱에 이어 표절 의혹으로까지 번졌다.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뒤처진 데다 사법 리스크까지 안고 있는 애플의 조급함이 이번 논란을 자초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애플은 지난 7일(현지시간) 아이패드 프로를 출시하면서 1분짜리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유튜브 등에 게시된 영상에는 대형 유압 프레스가 피아노와 통기타, 필름 카메라, 페인트 통 등을 짓눌러 부순 자리에 신형 아이패드 프로 하나만 놓여 있는 모습이 담겼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엑스(옛 트위터)에 광고 영상을 올리면서 “이 제품을 사용해 만들 모든 것을 상상해 보라”고 말했다.

그러나 창의성과 예술을 조롱하는 광고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인간의 창의성을 무시하고 창작자를 조롱한다’ ‘(애플은) 아름다운 것을 무자비하게 파괴하는 것을 추구하는가’ 등의 지적이었다.

논란이 커지자 애플은 광고를 TV에 내보내지 않기로 했다. 토르 마이런 애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사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광고 전문 매체 ‘애드 에이지’와의 인터뷰에서 “(광고 메시지는) 우리의 목표를 빗나갔다”면서 사과했다.

문제의 광고는 2008년 출시된 LG전자의 카메라폰 ‘르누아르’의 광고를 표절했다는 의혹에도 휩싸였다. 당시 광고에는 카메라, 악기 등이 유압 프레스에 뭉개진 뒤 카메라폰 하나만 나타나는 장면이 있다. 정보기술(IT) 업계 한 관계자는 12일 “AI폰 경쟁에서 밀린 데다 반독점 소송 등 여러 악재가 겹친 애플의 현주소가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