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덕에 웃고… 제주항공, 日여행객 증가에 사상최대 실적

한명오 2024. 5. 9. 03: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항공이 일본 여행객 증가로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늘어난 중·단거리 수요를 대응을 위해 새로운 기재를 도입하고, 노선을 늘리는 등 공급확대 전략이 호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중·단거리 여행 수요에 맞게 선제적이고 탄력적인 노선 운영이 실적에 도움을 줬다"며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이 일본 여행객 증가로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늘어난 중·단거리 수요를 대응을 위해 새로운 기재를 도입하고, 노선을 늘리는 등 공급확대 전략이 호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1분기 영업이익(별도재무제표 기준)은 약 75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5392억원으로 27.7% 상승했다. 단기순이익은 431억원으로 10.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주항공은 2022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 실적 견인에는 상승하고 있는 중·단거리 여행 수요가 자리 잡고 있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일본, 중화권, 베트남, 필리핀, 괌·사이판 등 제주항공이 취항하는 중·단거리 국제선의 올해 1분기 수송객 수는 1813만4351명이었다. 이 기간 전체 국제선 수송객은 2160만7700명이었는데, 83.9%를 차지했다.

특히 일본 노선의 수요는 계속해 늘고 있다. 엔저 효과에 힘입어 올해 1~3월(1분기) 한일 노선 이용객은 620만5279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분기에는 413만2343명으로 50.1% 늘어난 것이다. 제주항공은 이 수요를 잡기 위해 노선 다변화 전락으로 전체 이용객 중 15.9%인 98만4506명을 실어날랐다.

새로운 기재 도입을 통한 운영과 항공운임 상승도 실적에 보탬이 됐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제주항공의 보유기재 수는 총 42대(여객기 40대, 화물전용기 2대)다. 지난해 1분기 38대(여객기 37대, 화물기 1대)로 늘어난 수요를 잡기 위해 기재를 3대 늘렸다. 또 2020년 항공 운임 지수를 100으로 가정할 때 국제항공료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2020년 1분기 96.38에서 올해 1분기 121.37로 올랐다. 국내 항공료는 이 기간 103.77에서 109.85로 상승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중·단거리 여행 수요에 맞게 선제적이고 탄력적인 노선 운영이 실적에 도움을 줬다”며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