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장기에만 약물 전달한다" KAIST, 신개념 나노의약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발병한 장기로만 약물을 전달하면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존 기술은 간, 비장, 폐 등 대식세포 활동이 활발한 장기로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 한계였다.
KAIST는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와 화학과 이희승 교수 공동연구팀이 특정 장기에 약물을 전달해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의약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병한 장기로만 약물을 전달하면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존 기술은 간, 비장, 폐 등 대식세포 활동이 활발한 장기로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 한계였다.
KAIST는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와 화학과 이희승 교수 공동연구팀이 특정 장기에 약물을 전달해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의약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섯 가지 단당류 단위체를 기반으로 조합 패턴을 구현해 수십 종의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GlyNP) 라이브러리를 합성했다.
그리고 이를 동물 체내에서 선택성을 평가, 간, 신장, 비장, 폐, 심장, 뇌에 차별화된 선택성을 갖는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 후보군을 선별했다.
특히, 간, 신장, 비장에 선택성을 갖는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 후보군은 각 장기에서 간세포, 신장 상피세포, 대식세포를 표적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궁극적으로 각 장기 선택적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 후보군을 사용하면 해당 장기의 질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장기 및 세포 선택적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하면 독성을 낮추고 효능을 크게 올릴 수 있어 지금까지 불가능했던 장기별 질병 치료도 가능하다”며 “향후 뇌, 심장 등 표적약물 전달이 어려운 장기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연구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KAIST 생명과학과 김도현 박사과정과 황창희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고,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3월 15일자 화제의 논문으로 선정됐다.
대덕특구=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 임명 받은 李대통령 “오직 국민만 믿고 성큼 직진”
- 조국 사면, 찬성 43% vs 반대 48% [갤럽]
- [단독] “손기정 금메달 90주년, IOC에 이름·국적 정정 서한 보낸다”
- 대통령실, 日 이시바 ‘반성’ 언급에 “공동 이익에 부합”
- 독립운동가 후손부터 이국종까지…국민임명식 총출동
- 트럼프·푸틴 회담 앞두고 긴장…삼성·LG ‘러시아 복귀 시계’ 재가동하나
- ‘구마유시’ 이민형 “무조건 된다는 마인드로 경기…2위 싸움 최선 다하겠다” [쿠키인터뷰]
- 이재명 대통령 ‘국민임명식’…광화문에 수많은 인파 [쿡 정치포토]
- ‘표식’ 홍창현 “헤카림, 준비한 픽…팬들 위해 끝까지 최선 다하겠다” [쿠키인터뷰]
- ‘광복절 특사’ 조국 “검찰권 오남용한 검찰독재 종식의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