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당류, 비타민A… 한국인 섭취 기준 바뀔까

이금숙 기자 2024. 4. 26. 1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영양학회 춘계학술대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식생활이 바뀌고 이와 관련된 만성질환이 늘면서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도 바뀐다. 1962년부터 한국영양학회 주도로 만든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은 5년 마다 개정이 이뤄지고 있다. 2025년에 나올 개정판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26일 한국영양학회가 개최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미래 방향성과 활용전략'에서는 최근 만성질환 발생과 관련있는 콜레스테롤과 당류의 섭취 현황, 섭취 기준의 개정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또한 결핍 비율이 높은 비타민A 섭취 전략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미국은 콜레스테롤 섭취 기준 없애… 한국은?
한국도 미국처럼 콜레스테롤 섭취 기준을 없앨까? 현재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콜레스테롤을 19세 이상 성인에서 1일 300 mg 미만으로 섭취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콜레스테롤의 과다섭취 위험이 우려되지 않으며, 콜레스테롤 섭취량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관련성이 뚜렷하지 않다는 근거로 2015년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에서 콜레스테롤 섭취를 하루 300 mg 미만으로 제한하는 구체적인 기준을 ‘삭제’했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교수는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 과정에서 콜레스테롤 섭취 기준을 삭제하는 것이 검토되었으나, 권고 수준을 조정하거나 삭제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했다. 콜레스테롤 섭취 증가는 심혈관 위험 증가와 사망률 증가와 관련있다고 보고되고 있고, 일부 성별과 연령대에서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데다 한국인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권고 수준을 삭제하는 것이 시기상조로 판단됐기 때문. 한성림 교수는 “2025년 새 개정판에서는 콜레스테롤 섭취 기준의 목적, 식사를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가 만성 질환의 위험과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의 콜레스테롤 섭취 수준과 과다 섭취 위험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권고 수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한양의대 홍상모 교수는 이미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를 일차적으로 고려하며, 약물치료 없이 식습관 교정만 원하는 경우 콜레스테롤 섭취량 자체보다는 포화지방 섭취 제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류 기준 제한 추세
현재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르면 총당류 섭취량을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20%로 제한하고, 첨가당(설탕, 액상과당, 물엿, 당밀, 꿀, 시럽, 농축과일주스 등)은 총 에너지의 10% 이내로 섭취하도록 한다. WHO의 최근 권고 수준은 더 제한적이다. 유리당(첨가당뿐만 아니라 자연식품에 들어있는 과당 등 단당류 포함)을 총에너지의 10% 미만으로 섭취하고, 충치 예방을 위해서는 5% 미만으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당류의 섭취 수준이 높은 각국에서도 이에 준하는 수준으로 첨가당 또는 유리당의 섭취를 제한하는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도 이런 추세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각국이 당류에 민감한 이유는 첨가당이나 유리당이 영양 밀도가 낮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불필요한 에너지 섭취를 유발하며, 이에 따라 에너지 과다 섭취, 체중 증가, 비만으로 이어지는 위험을 높이기 때문. 식사의 밀도 저하와 충치의 원인도 된다. 최근에는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 위험 증가와의 연관성에 관한 보고들도 나오고 있다.

◇비타민A 부족 상태… 섭취 늘려야
비타민A의 경우 기준 단위가 바뀌면서(RE->RAE) 한국인의 경우 비타민A 섭취량이 기준치 미만으로 조사됐다. 이화여대 식품영양학과 김유리 교수는 “식품 영양 표시에 비타민A함량을 표시하고, 특히 동물성 식품 레티놀에서의 비타민A섭취 증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비타민A 섭취량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비타민A는 동물성 식품인 육류, 유제품, 간, 계란, 생선 등에 많이 들었고 식물성 식품에는 당근, 시금치, 수박, 망고 등 녹황색 채소와 과일에 많이 들었다.

한편, 비타민A는 간에 저장되기 때문에 면역기능 저하나 야맹증 같은 결핍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성인이 4개월에 걸쳐 비타민A가 포함되지 않은 식사만 섭취한 경우에도 간 내 비타민A 저장량이 20㎍/g으로 정상 유지가 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