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 ‘성료’

박준식 2024. 4. 26. 17: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 참가자들이 수료식에서 자격증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단법인 글로벌기업성장협의회는 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의 자격증 수여식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26일 밝혔다.

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에는 협회와 MOU를 맺은 기업평가사社 나이스디앤비의 기업 ESG평가시 평가지표에 대해 온라인 작성방법과 노하우까지 컨설팅 실무 위주로 교육이 진행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 기자]

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 참가자들이 수료식에서 자격증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단법인 글로벌기업성장협의회는 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의 자격증 수여식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26일 밝혔다.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은 세계적으로 대두되는 글로벌 트렌드인 ESG경영의 전문 컨설턴트를 양성하기 위해 협회가 개설한 국내 유일의 ESG경영 컨설팅 실무 교육 프로그램이다.

1기 교육과정은 3월9일부터 3월24일까지 6회에 걸쳐 협회 교육장에서 진행됐으며 ▲ESG경영 트렌드 ▲산업별 ESG 대응전략 ▲탄소중립 추진현황 ▲중대재해처벌법 대비 안전보건체계 구축 ▲위험성평가를 통한 대응방안 ▲글로벌ESG 공급망실사 필요성과 대응방안 ▲ESG 투자와 기업지원 ▲ESG경영시스템 구축 등의 이론 수업과 기업 지원, 실사례 공유로 ESG경영과 관련한 다양한 커리큘럼이 진행됐다.

특히 ESG경영 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응으로 ISO 국제표준인증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ISO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37301(규범준수경영시스템) 교육을 통해 ISO심사원 자격까지 취득하여 교육생들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환경영향 평가, 위험성 평가, 규범준수 리스크 평가 등에서 자동 평가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하여 타 인증 교육과 차별성을 두어 경쟁력을 키웠다.

제1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에는 협회와 MOU를 맺은 기업평가사社 나이스디앤비의 기업 ESG평가시 평가지표에 대해 온라인 작성방법과 노하우까지 컨설팅 실무 위주로 교육이 진행됐다.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 수료자는 이러한 ESG평가에서 나이스디앤비의 평가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자격과정의 혜택 중 하나라 교육생들이 ESG평가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이번 제1기 교육에는 중기이코노미, 스타리치, 에이큐브, 피플라이프, 미래에셋, 씨엔파트너즈 등에서 전문가 26명이 교육생으로 참가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에 대한 뜨거운 관심으로 제1기 교육이 진행중임에도 제2기 교육 문의가 많아 다음 제2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의 기대도 높은 상황이다.

협회 교육 담당자는 “본 과정을 통해 수료생들이 앞으로 시대적 흐름이자 필수 요소인 ESG경영 분야에서 국제적인 수준의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로 역량을 키워나갈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ESG경영 컨설팅 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관심있는 전문가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제2기 글로벌ESG경영컨설턴트 자격과정은 2024년 하반기에 진행할 예정이며 참가신청은 2024년 9월 중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

사단법인 글로벌기업성장협의회는 중소벤처기업부(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인가된 협회로 기업, 전문가, 컨설턴트 회원을 대상으로 한 멤버십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전문인력 육성과 글로벌 교류 증진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견실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자발적 협력기구이다. 교육, 금융, 자문, 네트워킹 등을 토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일에 활동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기술사업화,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 전략, 국제교류 활성화, 기업가정신 공유를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과 프로그램을 만들어가고 있다.
박준식기자 parkjs@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