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라는데…은퇴 후 최소 ‘이만큼’ 필요하다

김지연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colorcore@naver.com) 2024. 4. 24. 17: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 적정 노후생활비 분석
최소 11억 필요…“의료비·자녀지원비 급증 원인”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노후에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 11억원의 노후자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의료비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자녀 지원비용까지 갈수록 증가해,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현재 20·30세대가 은퇴할 때는 이보다도 더 많은 자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적정 노후생활비를 분석한 ‘슬기로운 은퇴생활’ 보고서를 지난 3월 발간했다. 보고서는 통계청을 인용해 “50대 가구주가 미은퇴한 가구에서 적정 노후생활비로 월 322만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은퇴 후 20년 동안 생존한다고 가정할 경우 단순계산으로 7억7280만원, 30년으로 가정하면 11억5920만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특히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현재 20·30세대가 은퇴했을 때 필요한 노후생활비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30년간 매년 2%씩만 물가가 오른다고 가정했을 때 적정 노후생활비는 21억원으로 대폭 늘어난다. 보고서는 “60대까지만 적정 노후생활비의 100%를 적용하고 70대는 70%, 80대는 50%를 적용해도 은퇴 후 30년간 8억5008만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가 인용한 2020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고령자들은 식비(46.6%)에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관리비·월세(24.5%) 보건의료비(10.9%) 등 사실상 고정비에 대한 부담도 적지 않았다. 특히 의료비 급증이 변수로 꼽힌다. 보고서가 통계청의 ‘2023 고령자통계’ 자료를 분석해 만든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497만4000원에 달했다. 전체 평균(185만6000원)의 2배를 넘어서는 금액이다.

뿐만 아니라 갈수록 늘어가는 ‘캥커루족’ 지원 비용도 부모 세대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대 중 38.9%, 30대 중 7.0%가 부모로부터 생활비를 받으며 생활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자녀 대학 등록금 지원에만 1인당 3000만 원, 결혼 지원에만 3억3050만 원이 들어갈 것으로 분석했다. 경제적 자립이 가능한 30·40대 캥거루족도 65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보고서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국민연금·퇴직연금 등 금융자산과 은퇴 후 일자리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