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이랑 똑같은데 3000원”...다이소 또 ‘품절 대란’

류승현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wkzl23@naver.com) 2024. 4. 24. 13: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다이소 매장 모습. (출처=연합뉴스)
저가 생활용품전문점 다이소가 화장품 판매로 부상하면서 뷰티 브랜드 입점이 잇따른다. 5000원 이하인 저가의 다이소 화장품이 SNS나 커뮤니티 등지에서 입소문이 나며 이른바 ‘품절 대란’이 생길 정도로 불티나게 팔리면서다.

24일 다이소에 따르면 2024년 들어 다이소 매장에서 신규 제품을 런칭한 화장품 브랜드는 총 8곳이다. 지난 2023년 19개의 신상 제품을 출시한 데 이어 올해 더욱 빠른 속도로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 2021년 화장품 제품이 4개에 불과했던 다이소는 3년여 만에 제품 라인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현재 다이소에 입점한 화장품 브랜드는 34개, 제품 수는 310여개에 달한다.

판매 대란을 일으킨 VT ‘리들샷’에 이은 인기 상품도 등장했다. 손앤박의 ‘아티 스프레드 컬러밤’이다. 지난 3월 판매를 시작한 이 제품은 명품 브랜드 샤넬의 ‘립앤치크밤’(6만3000원 상당)과 비슷한 발색을 보이며 화제가 되고 있다.

인기 상품이 연달아 나오며 다이소의 뷰티 부문 매출액은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올해 1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0% 신장했다. 가장 비싼 화장품 가격도 5000원에 불과해 지갑이 얇은 MZ세대와 가성비 제품을 찾는 소비자에게 큰 인기다.

이 같은 이유로 화장품 업계에서 다이소 입점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기업도 증가하는 추세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다이소 입점이 브랜드 이미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이 강했다”며 “VT가 다이소 입점으로 크게 성공한 것이 자극이 된 것 같다”고 전했다. 실제로 VT의 리들샷은 다이소에서 품절 대란이 일어난 뒤 입소문이 나서 홈쇼핑에 진출하는 등 인기를 몰고 있다. 최근 6개월간 회사 주가도 23% 상승했다.

화장품 제품이 인기를 얻으며 다이소 매출도 상승세다. 지난 2021년 기준 다이소 매출은 2조6050억원에서 2023년 3조4600억원으로 불어났다. 유통업계는 올해 다이소가 화장품과 패션 부문에 화력을 집중하며 연 매출 4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