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가입자 절반 이상 5년이내 해지한다

장슬기 2024. 4. 23. 13: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험가입자의 절반 이상이 5년 이상 계약을 유지하지 못 하고 해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명보험의 유지율이 저조했다.

2021년 이후 고금리 기조로 인해 저금리 저축성보험 해지가 증가하면서,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명보험의 5년 유지율은 39.8%로 특히 저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감원, 보험사 판매채널 영업효율 현황 발표
보험계약 5년 유지율 41.5% 불과

[한국경제TV 장슬기 기자]

보험가입자의 절반 이상이 5년 이상 계약을 유지하지 못 하고 해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명보험의 유지율이 저조했다.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보험회사 판매채널 영업효율 및 감독방향에 따르면 2023년 보험계약 유지율은 1년(13회차)이 84.4%, 2년(25회차)은 65.4%로 나타났다. 하지만 5년(61회차) 유지율은 41.5%에 불과했다.

2021년 이후 고금리 기조로 인해 저금리 저축성보험 해지가 증가하면서, 저축성보험 비중이 높은 생명보험의 5년 유지율은 39.8%로 특히 저조했다. 손해보험의 5년 유지율은 43.8%였다.

채널별 판매비중은 생명보험의 경우 은행을 통해 판매되는 방카슈랑스가 62.6%로 가장 많았고 직급(25.4%), 전속(6.5%), 대리점(5.1%) 순이었다. 손해보험은 대리점(30.5%), 직급(27.1%), 온라인(18.4%), 전속(7.3%) 순으로 나타났다.

전속과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의 경우 보험계약 초기(1년) 유지율은 각각 86.0%, 87.9%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수당 환수기간이 지나는 2년 이후 계약해지가 증가하면서 2년 유지율은 크게 하락했다. 방카슈랑스 채널은 전채널 대비 유지율이 가장 저조했다.

지난해 보험 불완전판매율은 0.03%로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생보의 경우 전속이나 GA 등 대면채널(0.07%)이 비대면채널(0.06%)보다 높으나, 손보는 대면채널(0.02%)이 비대면채널(0.03%)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보험회사 전속설계사 정착률(1년)은 47.3%로 전년(47.4%) 대비 소폭 하락(0.1%p)했다. 생보(36.9%)는 전속설계사의 GA 이동 등에 따라 전년(39.0%) 대비 하락한 반면, 손보(53.2%)는 전년(52.2%) 대비 소폭 상승했다.

2023년 보험회사 전속설계사의 1인당 월평균 소득은 304만 원으로 전년(275만 원)보다 29만 원(10.5%) 증가한 반면, 1인당 월평균 수입보험료는 2,402만 원으로 전년(2,509만 원)보다 107만 원(4.3%)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불완전판매 등 소비자 피해 방지와 잠재리스크 요인에 대한 선제적 차단을 위해 감독과 검사를 강화하겠다"며 "보험사 검사시 영업조직에 대해 연계검사를 실시하고, 부당한 계약전환 등 소비자 피해 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장검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험 모집조직의 위법행위는 무관용으로 강력 조치하는 한편, 보험사에 대해서는 내부통제 책임과 연계해 관리책임을 부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