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 세월호',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우리에 알려준 것
[강찬호 기자]
▲ 저자 박진영은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통해 과학과 정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
ⓒ 민음사 |
<재난에 맞서는 과학>(민음사, 2023)을 반갑게 읽었다. 저자 박진영은 자신을 환경사회학 연구자로 소개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지식 정치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책은 이 논문을 대중서로 다시 작업해서 출간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교훈을 되짚고, 본질적인 질문을 통해 다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문제(쟁점)를 거론하고 있다.
나는 가습기살균제 피해가족이다. 2010년과 2011년 사이 가습기살균제 사용에 노출되어 피해를 입었다. 가족 모두가 노출 피해자이고, 노출 정도와 개인의 민감성에 따라 인체 건강피해를 입었다. 그 정도에 따라 우리 가족 셋은 각자 다른 피해 판정을 받았다. 우선 딸이 즉각 피해 판정을 받은 경우였다.
나와 아내는 이 문제가 공론화되고 피해 판정 절차가 한창 진행된 이후, 나중에 피해 접수를 하고 추가 판정을 받았다. 현재 내 가족은 일상을 지내는 데 별 무리는 없다. 다만 가습기살균제 피해 유형이 워낙 다양하고, 인체 안에서 벌어지는 일이므로 '별일 없다'는 표현이 적절한 것인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안전하다'고 믿고 사는 감각이 뒤흔들릴 때
2011년 당시 나는 딸을 치료하는 데 최우선을 두었다. 급한 불을 끄는 것이 우선이었어서다. 부모는 당장 눈에 띄는 건강 피해 영향은 없었다. 동시에 가족이 집안에서 사용한 가습기살균제였으므로 가족 모두가 노출되었던 상황이라, 정확히 규명되진 않았어도 알 수 없는 피해가 몸 안에서 일어났을 것이라는 것은 상식적이었다. 이런 상황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평소 우리는 무수한 위험인자에 노출되어 살고 있다. 다만 그것이 건강 피해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사회적 기준선(안전기준치, 가이드라인)을 갖고, 그 기준치 이내는 안전하다는 그것(과학)을 믿고 살아가고 있다. 가습기살균제 노출도 시작부터 이러한 문제와 접근법을 안고 출발했다. 물론 가습기살균제는 이런 기준치가 없었기에 문제가 된 것이고, 그 이후 줄곧 문제가 되었다.
나는 2011년 8월 31일 이 문제가 우리 사회에 알려져 충격을 준 이후 그해 9월부터 피해 모임(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 이하 가피모) 대표를 맡아 2017년까지 활동했다. 그 당시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피해구제 등 대책활동을 했다. 그 기간 동안 여러 사건들이 진행되었고, 시간이 그만큼 흘렀고, 여러 경험들이 쌓였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2018년부터 약 3년 반 정도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에서 근무하면서,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관련된 일을 했다.
2011년부터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관련된 활동을 해 오면서 늘 풀리지 않는 숙제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한 번은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문제였다. 한 마디로 정리하면 '인과관계' 싸움이었다. 피해자들은 확실성과 불확실성의 기준, 즉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현실' 앞에서 매번 힘겨운 싸움을 해야 했다.
누구는 피해 구제 대상 피해자가 되어 뒤늦게라도 정부 피해구제와 기업의 개별 배상을 받을 수 있었지만, 불확실성과 같은 과학적 입증(검증)이 모호한 경우에 해당되는 피해자들은 피해 구제에서 배제되어 지난하고 힘겨운 싸움을 이어오고 있다.
▲ 더 안전한 사회를 위한 이야기 환경운동연합은 4월 6일(토) <재난에 맞서는 과학>의 저자 박진영(정면 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을 초대하여 북토크를 진행했다. 이날 가습기살균제피해자들도 함께했다. |
ⓒ 강찬호 |
이러한 싸움은 현재 진행형이다. 다시 말하면 가습기살균제 참사 싸움(투쟁)은 불확실성을 이유로 배제하고 유보하고 지연시켜 온 과학의 힘과, 지금껏 그 힘으로 지탱해 온 현실의 시스템(체제, 세계관)에 맞선 투쟁의 시간이었다. 이 투쟁에서 피해자와 활동가, 전문가들이 협력해 대항했다. 그 과정에는 많은 사건과 쟁점들이 있었다.
저자 박진영은 가습기살균제 참사로 박사 논문을 썼고, 그 외 환경재난을 연구해 온 연구자이다. 환경재난(참사)을 둘러싼 위험과 피해, 과학과 정치를 연구하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지난 역사를 다시 쫓고 누구나 읽기 쉽게 이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을 저술했다.
지난 시간의 상당 부분을 직접 경험했고 여러 현장에 함께 했던 나였지만, 숨 가쁘게 지나온 시간을 다시 정리해서 설명하는 일은 사실 그렇게 쉽지 않았다. 다행히 이 책이 나와서 나는 다시 지난 시간을 소환할 수 있고, 이 사건의 쟁점과 성과가 무엇인지 알릴 수 있는 교재(교과서, 무기)를 들 수 있다는 안도감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은 첫 소감은 '저자에게 고맙다'였다.
두 번째 감회는 저자가 이 참사를 겪으면서 반드시 우리 사회가 한 번은 정면으로, 그리고 제대로 마주 봐야 할 문제, 즉 과학과 정치, 과학과 피해(자) 문제를 들여다보고 정리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학자)로서 봉착하는 딜레마와 사회적 무관심을 마주하며 겪어야 할 여러 고뇌도 느껴졌다. 그 마음이 짠했고 고마웠다.
세월호 10주기, 거리에 선 피해자들은 여전히 외친다
나 역시도 피해자와 가족의 당사자로 살아오면서, 그리고 사참위 활동을 통해 가습기살균제참사의 핵심 쟁점은 결국 박진영 저자가 던진 화두라고 생각하고 있다.
▲ "22대 국회는 생명안전 국회가 돼야" 4.16연대,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시민대책회의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연 "22대 국회는 생명안전 국회가 되어야 합니다!" 22대 총선 약속운동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 남소연 |
저자는 멋지게도 '정치'의 역할과 가능성, 중요성을 타진하고 있다. '안방의 세월호'로 불리기도 한 가습기살균제참사를 연구함으로써 참사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조명하고, 이를 축적해 한국 사회가 더 똑똑해지고, 그 결과로써 더욱 안전한 사회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올해 4월 16일 세월호참사가 10주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사이 이태원참사가 발생했고, 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이 제대로 된 '이태원참사특별법'이 만들어져서 시행되기를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다. 가습기살균제참사 피해자들 역시 아직도 싸우고 있는 이들이 있다.
이들 모두는 대한민국이 더욱 안전해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회가 안전한 사회를 위해 더욱 분발하고 싸워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결과가 지난 4월 10일 제22대 총선이기도 했다. 대한민국 유권자들은 야권에 힘을 몰아줌으로써 안전불감증에 걸린 현 정권을 심판했다고, 나는 믿는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총선 1위 예측 출구조사, 틀린 18개 지역구는 어디?
- 윤 대통령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 정동, 성수동, 인천, 안동의 맥주가 유독 사랑 받는 이유
- 대법 "친일 <동아> 창업주 김성수 서훈취소는 적법"... 2차소송전도 패소
- 최고로 알아준다는, 소고기 육포 맛이 나는 생선
- 교직 사표 낸 두 후보 모두 당선... 교원 정치기본권 급물살?
- 이주민이 '두렵다'는 당신에게, 이 책을 권합니다
- 강남 납치·살해 주범들, 2심서도 무기징역
- "무기력 21대 국회 답습 말고, 개혁국회로 태어나라"
- 일본 언론 "한국 여당 총선 참패로 강제동원 해법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