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란의 쇼미더컬처] 고루한 것은 살아남지 못한다

강혜란 2024. 4. 12. 00: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오래 됐다고 귀한 것은 아니지만, 귀한 것일수록 오래 멀리 전해진다. 지난 주말 호암미술관(경기도 용인)에서 든 생각이다. 2023년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후 재개관한 이곳에선 기획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6월16일까지)이 열리고 있다. 한국·중국·일본 3국의 불교미술에 담긴 여성들의 번뇌·염원·공헌을 본격 조망하는 전시다. 전세계 27개 컬렉션에서 모은 92건에는 일본으로 유출된 후 국내 첫 공개되는 높이 28㎝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 등 진귀한 걸작들이 많다.

호암미술관 전시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을 통해 일제 반출 이후 처음으로 국내 공개된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 [뉴스1]

수백년 된 유물들이건만 관람객 눈높이에 맞춘 디지털 서비스가 돋보인다. 1345년 조성한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1~7’(리움미술관 소장)의 경우 0.1㎜ 세필로 그려넣은 불심을 맨눈으로 감상하기 쉽지 않다. 이를 감안해 벽면 디지털보드에 작품 속 도상을 확대하고 설명을 곁들였다. 마찬가지로 국내 처음 선보이는 13세기 ‘수월보살관음도’(개인 소장) 역시 화불(化佛)·정병(精兵) 등 그림 속 요소들을 개별 확대하며 안내하고 있다. 덕분에 지금 시대와는 결이 달랐던 당대의 염원을 한 박자 쉬며 돌아볼 수 있었다.

박물관(미술관 포함)이란 데가 고루한 유물만 갖다놨으면 진작에 외면 받았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이 418만명으로 세계 6위를 기록한 것은 대중성을 고려한 기획 뿐 아니라 첨단 기술을 적절히 접목한 전시기법의 힘도 크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기획을 가져다가 전시한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이야기’(4월14일까지)는 애니메이션을 곁들인 유물 해설로 오히려 뉴욕에서보다 상세히 내용을 알 수 있다는 호평이 줄을 이었다. 정명희 전시과장은 “수천년 전 종교적 서사를 영상세대가 친숙히 이해할 수 있게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첨단 기술 덕에 유물을 만나는 방법도 다채로워지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는 ‘작은 금강, 칠보산을 거닐다’(5월26일까지)는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이 소장 중인 19세기 조선 병풍을 생생한 실감영상으로 즐길 수 있게 한다. 덕분에 북녘 땅에 있어 갈 수 없는 함북의 명산 칠보산, 미국 땅에 있어 직접 만날 수 없는 실경산수 유물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21세기 우리 국력이 가능하게 한, 시공간을 뛰어넘는 ‘디지털 연결’의 힘이다.

값지고 귀한 것을 만들어내는 건 시대의 역량이지만 이전 세대가 물려준 것에 부가가치를 보태는 것도 오늘날의 몫이다. 국내 서화류 보존처리 1인자로 꼽히는 박지선 정재문화재보존연구소 대표는 자신이 하는 일이 “물려받은 것에 내가 알게 된 걸 쌓아서 같이 가는 것”이라고 했다. 덕분에 빛바랜 것이 원래 색을 찾고, 찢어지고 흩어진 게 제꼴을 갖춘다. 디지털과 영상의 힘이 거기에 새로움을 더한다. 고루한 것은 살아남지 못한다. 유물도 그러한데 사람과 정치는 오죽하겠나.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