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플] 2만원대 5G 요금제도 나왔다…SKT, LG유플러스 저가 요금제 출시

권유진 2024. 3. 27. 17: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점에 붙은 이동통신 3사 로고. 연합뉴스


통신 3사가 모두 3만원대 5세대(G)요금제를 출시하면서 통신비 인하 경쟁이 본격화했다.


무슨일이야


SK텔레콤은 27일 5G 요금제인 ‘컴팩트’(월 3만9000원)를 출시했다. 같은날 LG유플러스도 ‘5G 미니’(월 3만7000원) 요금제를 선보였다. SK텔레콤의 컴팩트는 월 6GB, LG유플러스의 5G 미니는 월 5GB를 제공한다. 지난 1월 KT가 출시한 ‘5G슬림 4GB’(월 3만7000원) 보다 데이터 제공량이 많다.

SK텔레콤은 ‘다이렉트 5G 27’(월 2만7000원, 6GB)과 ‘다이렉트 5G 31’(월 3만1000원, 8GB) 등 온라인 전용 요금제도 내놨다. 이 요금제는 단말기 구입 없이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유심(USIM)만 구입했을 때 가입 가능하다. 업계 최초 2만 원대 온라인 요금제인 ‘다이렉트 5G 27’은 3만 원대 ‘컴팩트’ 요금제와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면서 월 요금은 30%가량 저렴하다. 월 4만5000원에 8GB를 제공하는 ‘컴팩트플러스’ 요금제도 새로 출시한다.


데이터 제공량도 늘린다


SKT와 LG유플러스 모두 기존 요금제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기로 했다. SK텔레콤은 베이직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을 8GB에서 11GB로, 슬림(월 5만5000원) 요금제 제공량을 11GB에서 15GB로 늘린다. LG유플러스도 '5G 슬림+'(월 4만7000원)'의 데이터 기본 제공량을 6GB에서 9GB로 확대한다. '5G 라이트+'(월 5만5000원) 데이터 제공량도 12GB에서 14GB로 늘린다. 두 통신사 모두 4월1일부터 자동으로 제공량을 확대한다.

이게 왜 중요해


통신3사에서 2만원대 요금제까지 등장하면서, 알뜰폰과 요금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알뜰폰 요금제는 5G의 경우 6GB에 1만원대로 아직은 더 저렴하다. 하지만 통신사가 계속 더 저렴한 5G 요금제를 선보이면서 차이가 줄고 있다. 저가 요금제를 이용하면서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데이터 쿠폰을 활용하면 남는 데이터 없이 알뜰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GB당 가격은 저가 요금제일수록 높다. 현재 통신사에서 출시한 3만원대 요금제의 GB당 가격은 각각 6500원(SKT), 9250원(KT), 7400원(LG유플러스)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