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놀드 슈워제네거, ‘이 질환’ 때문에 심장에 기계 이식… 사연 들어보니

임민영 기자 2024. 3. 27. 13: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로 유명한 배우 아놀드 슈워제네거(76)가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해 수술을 받은 근황을 전했다.

슈워제네거는 1997년 첫 심장 수술을 받고, 2018년과 2020년에도 수술받은 적이 있다.

18일에 진행한 수술은 인공 심장박동기를 삽입하는 수술이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대동맥판에 석회화 등 변화가 생기면서 대동맥판 협착(몸으로 혈류를 내보낼 때 대동맥 판막 부위가 좁아져 발생하는 심장질환)이 나타날 때가 많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토픽]
배우 아놀드 슈워제네거(76)가 ‘이엽성 대동맥판막’ 때문에 심장 수술을 받았다고 밝혔다./사진=아놀드 슈워제네거 SNS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로 유명한 배우 아놀드 슈워제네거(76)가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해 수술을 받은 근황을 전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아놀드 슈워제네거는 자신의 팟캐스트 채널을 통해 지난 18일 수술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선천적으로 ‘이엽성 대동맥판막(bicuspid aortic valve)’을 가지고 있다. 슈워제네거는 1997년 첫 심장 수술을 받고, 2018년과 2020년에도 수술받은 적이 있다. 18일에 진행한 수술은 인공 심장박동기를 삽입하는 수술이었다. 그는 “마치 기계가 된 것 같다”며 “5일 정도 지나니까 바로 컨디션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그리고 “투병 생활을 하는 사람이 정말 많은데,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며 “두려움 때문에 (치료를) 미루고 있다면 의사를 믿고 스스로에게 확신을 가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엽성 대동맥판막은 대동맥 판막이 2개로 이루어진 선천적인 심장기형을 말한다. 대동맥판막은 대동맥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해서 대동맥의 혈액이 좌심실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준다. 정상적인 대동맥판막은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며 위에서 내려다봤을 때 ‘ㅅ’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엽성 대동맥판막은 두 개의 판막이 같은 크기를 가지기도 하지만, 대부분 3개의 엽 중 두 개가 붙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엽성 대동맥판막이 있어도 소아기에는 대부분 정상적인 기능을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대동맥판에 석회화 등 변화가 생기면서 대동맥판 협착(몸으로 혈류를 내보낼 때 대동맥 판막 부위가 좁아져 발생하는 심장질환)이 나타날 때가 많다.

이엽성 대동맥판막이 있으면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가슴 통증을 겪는다. 숨이 차거나 맥박이 불규칙하기도 하다. 이엽성 대동맥판막 환자 중 80% 이상은 수술 치료를 받아야 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환자 자신의 폐동맥 판막을 대동맥 판막 자리에 대신 넣어주거나, 인공 판막으로 바꾼다. 이엽성 대동맥판막은 유전될 수 있어, 가족 중 이엽성 대동맥판막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미리 검사받는 게 좋다. 이엽성 대동맥판막은 감염성 심내막염(세균, 곰팡이 등이 심장 내막에 균체를 형성해 발생하는 염증)을 일으키기 쉽다. 감염성 심내막염이 생기면 판막의 역류가 심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