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훈아 콘서트 티켓 리셀러 ‘우르르’…공연법 개정 비웃는 암표상들 [D:이슈]

박정선 2024. 3. 27. 08: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2일부터 명령을 자동으로 반복 입력하는 매크로를 통해 표를 사고, 웃돈을 얹어 판매하는 이들을 형사처벌하는 개정 공연법이 시행됐다.

티켓 플랫폼 인터파크 관계자는 "안심예매 서비스, 보안문자 입력 단계 추가를 비롯해 예매 창 진입 후 결제까지 제한시간을 설정해 매크로의 과도한 진입과 좌석 호출을 제재하는 등의 대응을 하고 있다. 불법거래 정황이 발견된 경우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티켓을 취소하기도 한다"면서도 "매크로는 인터파크의 오랜 숙제이자 싸워나가야 하는 주요 타깃이다. 100% 막는 건 불가능하다. 우리가 대응책을 논의하는 것처럼 매크로 업자들도 규제 정책을 피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2차 판매 이슈는 물론이고 트래픽 이슈와도 연관이 있어서 꾸준히 대응하고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2일부터 명령을 자동으로 반복 입력하는 매크로를 통해 표를 사고, 웃돈을 얹어 판매하는 이들을 형사처벌하는 개정 공연법이 시행됐다. 적발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처분을 받게 된다지만, 여전히 이들을 ‘어떻게 잡을 것인지’에 대해선 미덥지 못하다.

ⓒ예아라

당장 개정 공연법 시행 첫날만 하더라도 온라인 중고 거래 사이트, SNS 등에는 매크로를 이용해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는 암표 거래 글이 쏟아졌다. 지난 19일 진행된 나훈아의 인천 송도 콘서트 티켓은 예매와 동시에 수천 명의 대기열이 발생했고, 20분 만에 전석 매진됐다.

나훈아의 ‘마지막’ 콘서트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이후 수십 개의 티켓 거래 글이 쏟아지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결국 진짜 보고 싶은 사람은 보지 못하고, 대중의 수요를 악용하는 암표상들과 티켓 확보 경쟁을 벌였던 셈이다. 현재 나훈아의 콘서트 티켓은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최소 2배 이상의 가격으로 재판매되고 있다.

나훈아 콘서트 뿐만 아니라 오는 30일 인천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리는 세븐틴의 콘서트는 정가 19만8000원(VIP석 기준)짜리 티켓을 150만원에 판매하는 글도 올라왔다. 스포츠 경기도 마찬가지다. 지난 23일 2024 프로야구(KBO) 정규시즌 개막전을 앞두고 경기장 밖에서 웃돈을 얹어 티켓을 재판매하는 암표상이 득실댔다.

심지어 SNS에서는 예매 시작을 앞둔 콘서트, 뮤지컬, 스포츠 경기의 티켓을 ‘매크로’를 이용해 대신 예매해주겠다는 홍보 글도 버젓이 나돌고 있다. 매크로 암표 거래를 적발, 처벌한다는 개정 공연법이 현실에선 무용지물이라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매크로를 이용한 티켓 구매는 예매 당시 시스템에서 걸러내지 않으면 잡아내기 어렵다. 티켓 예매 사이트 자체적으로 매크로 사용이 의심되는 비정상적인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지만 매크로 티켓팅 기술 역시 나날이 진화하고 있어 이를 원천 차단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매크로 의심을 피하기 위한 ‘아옮’(아이디 옮기기), ‘댈티’(대리 티케팅)까지 걸러낼 스크리닝 시스템을 갖췄는지에 대해서도 여전히 의문이 따른다.

티켓 플랫폼 인터파크 관계자는 “안심예매 서비스, 보안문자 입력 단계 추가를 비롯해 예매 창 진입 후 결제까지 제한시간을 설정해 매크로의 과도한 진입과 좌석 호출을 제재하는 등의 대응을 하고 있다. 불법거래 정황이 발견된 경우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티켓을 취소하기도 한다”면서도 “매크로는 인터파크의 오랜 숙제이자 싸워나가야 하는 주요 타깃이다. 100% 막는 건 불가능하다. 우리가 대응책을 논의하는 것처럼 매크로 업자들도 규제 정책을 피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2차 판매 이슈는 물론이고 트래픽 이슈와도 연관이 있어서 꾸준히 대응하고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암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더 직접적으로 암표 거래를 막을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콘서트는 물론 모든 공연과 스포츠 경기 등에 대한 암표 거래를 원천 차단해야 한다. 매크로 이용 여부와는 무관하게 정가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암표를 모두 걸러내고 처벌 수위도 더 높여야 이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