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 있는 아침] (219) 시시(時時) 생각하니

2024. 3. 21. 00: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시시(時時) 생각하니
강강월(생몰연대 미상)

시시 생각하니 눈물이 몇줄기요
북천(北天) 상안(霜雁)이 어느 때에 돌아올꼬
두어라 연분이 미진(未盡)하면 다시 볼까 하노라
-병와가곡집

누구에겐 독(毒), 누구에겐 향(香)

강강월(康江月)은 18세기 평안도 맹산의 기생으로, 널리 알려진 시조 두 수를 남긴 빼어난 예인(藝人)이었다.

이런 시인이 님을 잊지 못해 눈물로 세월을 보내고 있다. 북쪽으로 날아간 기러기가 다시 돌아오면 떠나간 님도 오시려나. 인연이 아직 다하지 않았다면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될 것이라며 스스로를 위로해본다. 슬픔을 못 이겨 울고 또 울다가 체념에 이른 것일까? 그녀가 남긴 시조 한 수를 마저 읽는다.

기러기 우는 밤에 나 홀로 잠이 없어 / 잔등(殘燈) 돋워 켜고 전전불매(輾轉不寐) 하던 때 / 창밖에 굵은 빗소리에 더욱 망연(茫然)하여라

그리움에 잠 못 이루는 밤, 꺼져 가는 등잔불을 돋워 켜고 이리저리 뒤척이는데 창밖에 굵은 빗소리마저 들리니 아무 생각 없이 멍할 따름이다.

예나 지금이나 가슴 아픈 그리움은 많은 명시들을 낳기도 했다. 고통은 고통 자체로는 괴롭지만 견디고 다듬으면 예술이 되기도 한다. 누구에게는 독이지만, 누구에게는 향이 되기도 하니 우리네 삶의 오묘함이여.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