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한 중장년 근로자 고용…비정규직 비율 OECD 불명예 1위
근로자 중 기간제, 파견 및 일일 근로자 등 ‘임시고용’ 근로자 비중은 34.4%였다. 성별로 보면 남자 33.2%, 여자 35.9%로 OECD 평균(남자 8.2%·여자 9%)의 4배에 달했다.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고용 불안정성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요셉 연구위원은 20일 발간한 ‘KDI 포커스:중장년층 고용 불안정성 극복을 위한 노동시장 기능 회복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장년층 정규직이 부족한 배경으로 한국 사회에 깊이 자리 잡고 있는 ‘과도한 연공서열형 임금 구조’가 꼽힌다. 근속연수가 10년에서 20년으로 높아질 때 우리나라의 임금 상승률은 평균 15.1%다.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중장년층 근로자에 대한 정규직 노동 수요 자체가 부족해서다. 2019년 기준 인구 대비 정규고용 비중은 55~64세 남성이 32.2%, 25~54세 여성이 43.1%에 불과하다. 같은 시기 OECD 평균(이스라엘·멕시코는 제외)인 47.2%, 50.3%를 크게 밑돈다. 더구나 저임금 · 저숙련 일자리 외의 고임금 · 고숙련 일자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고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현 노동 시장 구조는 여성의 경력 단절 현상을 심화하는 원인으로도 지적됐다. 출산·육아로 정규직 일자리를 떠나면 재취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아예 출산·육아를 포기한다는 것이다.
낮은 중장년 정규직 노동 수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우선 대기업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정규직 임금의 연공성을 완화해나가야 한다고 한 연구위원은 주장했다.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하는 기간 이후로 연공서열에 의한 임금 상승을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직무와 성과에 따른 임금 상승이 이뤄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비정규직 보호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당해고 시 금전 보상액의 경우 해외 사례와 유사하게 근속연수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지만, 일정한 상ㆍ하한을 두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했다. 이외에도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 구직급여 재설계 등 고용 안전망 강화 방안도 제시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고민정, 최고위원직 사퇴...민주당 집단 탈당 움직임도 - 매일경제
- “지난주에 팔 걸”…비트코인, 한국서 더 많이 떨어졌다고? - 매일경제
- “공짜인 척하더니”…중국 직구앱 테무, ‘테무깡’으로 소비자 기만 논란 - 매일경제
- “8억5천짜리가 순식간에”…집값 급락에 술렁이는 ‘이 동네’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SK증권 “하나금융지주, 가장 높은 주주환원 매력…목표가↑” - 매일경제
- 올해 가장 비싼 아파트 164억…어디인가 봤더니 - 매일경제
- KG 모빌리티 “2030년 미래 비전 그린다” - 매일경제
- 산전수전 겪은 베테랑 창업가, ‘모빌리티 미디어’ 꽂힌 이유 - 매일경제
- 콧대 높은 佛까르푸도 뚫었다…EU서 3년 만에 매출 300억 K푸드 스타트업 [내일은 유니콘] - 매일경
- 실거주 의무 3년 유예...하지만?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