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병원 4개 병동 폐쇄, 전남대병원 200억원 대출…의료체계 붕괴 현실화 조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지역 의료대란 장기화가 의료체계 붕괴로 이어질 공산이 커지고 있다.
조선대병원이 4개 병동 가동중단에 들어갔고 전남대병원 역시 3개 병동폐쇄와 함께 운영자금 부족으로 수백억원의 긴급 자금을 대출 받았다.
전남대병원은 인건비 지급과 운영비 등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대란이 촉발된 2월 140억원에 이어 3월 들어 60억원 등을 추가 대출받아 만일에 대비해 300억원 한도로 개설한 마이너스 통장을 거의 소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대, 전남대 병원 7개 병동 폐쇄.
지역 상급 2개 대학병원 마비 우려.
광주지역 의료대란 장기화가 의료체계 붕괴로 이어질 공산이 커지고 있다. 조선대병원이 4개 병동 가동중단에 들어갔고 전남대병원 역시 3개 병동폐쇄와 함께 운영자금 부족으로 수백억원의 긴급 자금을 대출 받았다.
조선대병원은 전공의 이탈사태가 이어진 이후 인력난이 가중되자 20일부터 52병동(성형외과·비뇨의학과·이비인후과), 53병동(흉부외과), 62병동(순환기내과·류마티스내과·감염내과·종양혈액 내과), 72병동(신경과) 등 4개 병동을 폐쇄했다고 밝혔다.
전공의 집단행동 두 달째를 맞아 총 14개 병동 중 4개 병동 216개 병상이 환자를 받을 수 없게 된 데 따른 고육지책이다. 이 병원 전공의들은 지난달 19일부터 근무지를 이탈하기 시작했다.
병원 측은 폐쇄 병동에 입원 중이던 환자는 통합 병동으로 옮기고 문을 닫은 4개 병동 100여명의 간호사 등 의료인력은 중환자실과 응급실, 통합병동에 골고루 재배치했다.
병원 측은 외래진료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평소 대비 수술 건수와 입원환자 병상은 평소의 절반 이하로 줄여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눈덩이 적자에 직면한 전남대병원은 최근 200억원 마이너스 대출과 함께 지난 6일부터 입원환자가 줄어든 성형외과 정형외과 비뇨기과 등 3개 병동을 폐쇄하고 해당 병동 간호사들을 진료보조(PA) 간호사 등으로 발령냈다.
전남대병원은 인건비 지급과 운영비 등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대란이 촉발된 2월 140억원에 이어 3월 들어 60억원 등을 추가 대출받아 만일에 대비해 300억원 한도로 개설한 마이너스 통장을 거의 소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각한 문제는 의료대란이 이어지면 4월부터 매월 100억원 이상을 더 대출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수술 건수와 병상 가동률이 급격히 떨어져 하루 수억대 적자가 불가피해서다.
이로 인해 광주지역 의료체계 정점인 2개 대학 상급병원의 복합위기가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응급환자 위주로 수술을 진행하고 신규 외래 진료를 받지 않고 입원환자를 최소화하는 축소 운영을 이어가고 있으나 임계점을 향해 치닫는 상황이다.
업무개시 명령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복귀 전공의는 전남대병원이 본원 156명, 분원 62명 등 218명, 조선대는 106명에 달한다.
하지만 의대 교수들의 집단행동이 가시화되는 등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발화된 의료대란은 해결될 기미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전남대 의대 교수 180여명은 최근 SNS단체방을 개설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사직서 제출 여부 등에 대한 의견수렴에 들어갔다.
오는 22일 전공의 보호방안과 정부 의대증원에 대한 입장 등 의료대란 대응방안에 관한 자체 설문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조선대 의대 150여명의 교수들도 지난 16일 교수평의회 임시총회를 열고 3분의2 이상 찬성으로 교수평의회를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으나 집단사직 등 뚜렷한 대응방안에 관한 결론을 내리지는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 교수들은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가 집단행동을 결의한 25일에 맞춰 집단사직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외래진료와 수술 등 병원 진료 주축인 전문의들의 병원 이탈 조짐도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교수진과 전문의들이 의료진료를 거부할 경우 전공의 이탈로 촉발된 의료대란으로 두 대학병원 기능이 거의 마비되는 등 지역 의료체계가 사실상 붕괴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대학병원 관계자는 “전공의와 교수들의 집단사직이 현실화하면 대학병원은 개점휴업 상태로 지역의 정상적 진료체계 가동이 어렵게 된다”며 “정부와 의료계가 하루빨리 의정갈등 해법을 찾아 사태를 마무리해주기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3세 출산하니 좋다” 20대 엄마, 악플에 결국 공개사과
- “오타니 몸값 1조, 아내는 4만원 가방 들었다”…日들썩
- 박용진 득표율 깐 이재명…박 “‘트루먼쇼’ 아닐까 생각”
- 새 차 주변 두른 폭죽이 ‘펑펑’ … 위험천만한 中 문화
- 尹, 황상무 수석 사의 수용… ‘회칼 테러’ 언급 엿새만
- 日여행 괜찮나…일본 전역 ‘치사율 30%’ 전염병 공포
- 한소희 짤 ‘칼 든 강아지’ 견주 등판…“슈퍼스타 됐다”
- “모든 인연 끊고 숨어 지내”…황의조 피해자의 호소
- “배달 갔다가 첫눈에 반해” 美배달부-유기견 ‘운명적 만남’
- 이번엔 비례대표 공천 놓고… 한동훈·친윤계 정면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