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학이 오히려 마이너스? 기피하는 유학생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을 떠났던 유학생들이 중국 정부의 봉쇄 정책 해제에도 좀처럼 돌아오지 않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9일 인용한 중국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19년 17만2571명에서 팬데믹 첫해인 2020년 8만9751명으로 급감했다.
중국 유학 알선 플랫폼인 차이나어드미션의 리처드 카워드 설립자는 "미국과 한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학생 수 고작 350명 추정
서방과 대립·취업난·관료주의 등 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을 떠났던 유학생들이 중국 정부의 봉쇄 정책 해제에도 좀처럼 돌아오지 않고 있다. 안보 강화를 명분으로 한 폐쇄적인 국가 운영과 경제성장 둔화로 인한 취업난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유학생 급감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반중 정서가 퍼져 있다는 신호로도 여겨진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9일 인용한 중국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19년 17만2571명에서 팬데믹 첫해인 2020년 8만9751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2022년 11만4112명까지 회복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해외 기관들은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는 2019년 1만1000명이던 중국 내 미국인 유학생 수가 지난해 350명까지 줄었다는 추정치를 내놨다. 주중 미국대사관도 자국 유학생 수가 최근 350명까지 줄었다고 확인했다.
SCMP는 유학생이 급감한 배경으로 서방 세계와의 긴장 고조와 관료주의, 취업난을 꼽았다. 중국이 최근 반간첩법과 데이터보안법에 이어 국가기밀보호법을 강화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했다.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중국이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베이징대에서 옌칭아카데미 2년 과정을 수료한 영국인 잭 앨런은 “동급생들 사이에선 중국에서 보낸 시간이 귀국 후 취업에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SCMP에 말했다.
미국이 다른 자유 진영 국가들과 세계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중국 유학’ 경험이 되레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의 중국 유학 담당자 에이미 개즈던도 “2010년대만 해도 중국에 가서 중국어를 공부하면 취업 시장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이젠 아니다”고 설명했다. 중국 유학 알선 플랫폼인 차이나어드미션의 리처드 카워드 설립자는 “미국과 한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외국 학생들이 중국에 등을 돌리는 사이 대만은 이들을 유치할 절호의 기회를 얻었다.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대만 교육부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어 학습을 위해 대만에 간 외국인이 총 3만6350명으로 2022년(2만7808명)보다 30.7%나 늘었다고 보도했다.
종전 최고 기록인 2019년 3만2457명보다도 12% 증가한 수치다. 한 영국인 유학생은 “영국에서 함께 중국어를 배우던 학교 친구들 중 90%는 대만으로 향했고 10%만 대륙(중국)에 갔다”고 말했다.
NYT는 “반외국 정서를 부추기는 권위주의 지도자 시진핑의 중국을 보며 유학 매력이 크게 떨어졌다”며 “미국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일부 어학 프로그램은 이미 중국 본토에서 대만으로 이전했다.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미·중 간 모든 수준의 학술적 협력이 약화됐다”고 전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식 사과’ 앞둔 이강인, 팬들과 인사하며 귀국
- 동급생 3명이 13세 학생 살해…中 학폭 살인 발칵
- 日축구팀 평양 가는데… 재일교포 기자는 입국 거부 당해
- 죽은 나무 뒤 ‘푸르른 잎’…런던에 나타난 뱅크시 벽화
- 트럼프 “공탁금 낼 돈 없다”…사법 리스크 본격화
- “더 얘기해보자” 하고 새사랑…한소희, 반지 끼고 귀국
- ‘유명 종목만 산다’ 100조 넘은 서학개미 투자, 걱정되네
- 며느리 차량에 시어머니 참변…주민들 “효부였는데”
- ‘안경 앵커’ 임현주, 이번엔 생후 5개월 딸과 생방송
- “나랑 친구할래?” 이웃 초등생에 문자한 신상공개 성범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