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해상막료장, 한일 초계기 갈등 재발방지 합의문 "조정 중…큰 방향성 합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의 사카이 료(酒井良) 해상막료장(해군 참모총장 격)은 19일 한일 간 이른바 '초계기 갈등' 문제를 둘러싸고 양국 정부가 재발방지책을 정리한 합의 문서 조정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일 초계기 갈등은 2018년 12월 광개토대왕함에 일본 해상자위대의 초계기가 접근해 위협 비행한 사건이다.
산케이는 "한국 측은 조사 사실 자체를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양 정부는 재발방지책 협의 가속화에 합의한 바 있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의 사카이 료(酒井良) 해상막료장(해군 참모총장 격)은 19일 한일 간 이른바 '초계기 갈등' 문제를 둘러싸고 양국 정부가 재발방지책을 정리한 합의 문서 조정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사카이 막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체로 큰 방향성은 합의돼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합의문의 "문서의 문언 등에 대해 현재 조정하고 있다. 이를 합의할 수 있다면 발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일 초계기 갈등은 2018년 12월 광개토대왕함에 일본 해상자위대의 초계기가 접근해 위협 비행한 사건이다. 당시 일본은 한국의 광개토대왕함에서 초계기 사격을 목적으로 한 사격 통제 레이더를 송출시켰다고 한 반면, 우리 군 당국은 사실 무근이라 반박하며 진실 공방이 벌어졌다.
산케이는 "한국 측은 조사 사실 자체를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양 정부는 재발방지책 협의 가속화에 합의한 바 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해 6월 한일은 국방장관 회담을 가지고 초계기 갈등과 관련 재발방지책을 포함한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했다. 당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양측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실무협의부터 시작해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기자들에게 밝혔다.
산케이에 따르면 한일 국방장관 회담 이후 양 정부 간 구체적인 조율이 이뤄져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 여친 "폭행에 성병"…배우 전호준 "맞은 건 나" 반박
- 암투병 이솔이, 박성광 놔두고 유럽행 "죽기 전에 가고파"
- 72억 집 손연재, 발레하는 아들에 "안돼"
- 김현종 "이재명, 국민 맞아죽지 않고 굶어죽지 않을 노하우 다룰 준비된 후보"
- 천하람 "이준석 지지층, 김문수 지지 어렵다…애초 결합되기 굉장히 어려운 표심"
- '연봉 1억' 회계사 관두고 '화장실 청소'…"특별한 삶 위해"
- 65억 건물주 강민경, 한남동 자택 공개 '집이야 카페야?'
- 건강이상설 고지용 찾은 은지원 "왜 이렇게 말랐어"
- 남보라, 미모의 여동생과 화보 "사랑스런 자매"
- "첫눈에 반했나요"…티아라 효민 신혼집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