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부 800쌍 분석해보니… 남편 아프면 아내도 아파

전종보 기자 2024. 3. 18. 22: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의 배우자는 질환을 함께 앓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에 참여한 60세 이상 부부 814쌍을 대상으로 노인의 만성질환이 배우자의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고혈압, 당뇨병, 심장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의 배우자는 질환을 함께 앓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에 참여한 60세 이상 부부 814쌍을 대상으로 노인의 만성질환이 배우자의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부부 각각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질병부담을 누적질환평가척도(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로 평가했으며 ▲학력 ▲알코올 섭취량 ▲수면의 질 ▲신체 활동 ▲우울 정도 등 질병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인자를 포괄적으로 평가해 8년간 추적·조사했다.

연구 결과, 부부 중 한 사람의 CIRS 점수가 1점 높을수록 배우자의 8년 후 CIRS 점수도 0.154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년의 추적 기간 중 CIRS 점수가 1점 상승할 때마다 배우자의 점수 또한 0.126점 함께 증가했다. 이는 부부 중 한 사람의 현재 질병 수준뿐 아니라, 향후 변화 여부도 배우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특히 현재 질병에 대한 부담이 클수록 이 같은 현상이 뚜렷했다.

연구팀은 현재 여러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의 배우자는 향후 많은 만성질환을 앓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관리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아 나중에 여러 만성질환을 앓게 됐을 때도 배우자의 만성질환 위험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환자 개인뿐 아니라 부부를 함께 만성질환의 진단·치료·교육 대상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견이다. 김기웅 교수는 “노년층의 경우 만성질환 부담이 높고, 관리를 소홀히 하기 쉬워 진료나 보건사업을 부부 단위로 설계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며 “자신의 만성질환이 배우자의 건강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잘 소개해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고, 부부를 한 팀으로 관리한다면 기존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BMC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