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서사… 디저트 신세계 열렸다

문수정 2024. 3. 17. 23: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강 ‘스위트파크’ 한달새 140만명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들어선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파크'가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일본에서 건너온 밀푀유 파이 전문점 '가리게트'에서 밀푀유 파이를 만드는 과정 샷. 가리게트는 스위트파크 20대 방문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매장으로 꼽혔다. 신세계백화점 제공


지난 1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지하 1층 식품관. 긴 줄이 꼬불꼬불 늘어서 있었다. 목을 길게 빼고는 상품 진열장을 살펴보거나, 후기를 검색하거나, 이미 양손에 도넛과 케이크를 들고 있는 이들이 길게 늘어선 줄 곳곳에서 보였다. 평일 오후인데도 인파로 북적이는 이곳은 신세계 강남점의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파크’다.

스위트파크는 지난달 15일 문을 연 뒤 현재 서울 최고의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지난 14일까지 누적 방문객 수는 140만명이었다. 오픈 한 달간 신세계 강남점의 디저트 매출 신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3배를 넘어섰다. 불황의 시대, ‘스몰럭셔리’로 떠오른 디저트 열풍은 올해도 식지 않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20대가 가장 선호하는 매장 중 하나로는 일본 밀푀유 디저트 전문점 ‘가리게트’였다. 지난 12일 가리게트 대기 줄에 서 있던 도모(29)씨는 “처음에 위치를 찾느라 좀 헤맸는데 사람들이 많은 곳을 보고 바로 알았다”며 “예쁘고 다양한 케이크와 베이커리를 구경할 수 있어서 오래 기다려도 와볼 만한 곳 같다”고 말했다.

스위트파크는 5300㎡(약 1600평) 규모의 공간에 국내외 가장 핫한 디저트·베이커리 전문점 43개로 꾸려졌다. 주말에는 오후 4~5시면 대부분 매장 제품이 품절될 정도다. 개장일인 지난달 15일에는 오전 8시 이전부터 신세계 강남점 앞에 스위트파크를 향한 오픈런 줄이 길게 이어졌다.

스위트파크가 오픈한 지난달 15일 오전, 한 디저트 매장에 방문객들이 길게 줄을 서 있는 모습. 신세계백화점 제공


그날 가장 대기가 길었던 매장 중 하나가 부산의 베이커리 전문점 ‘초량온당’ 팝업스토어였다. 지난 3일 스위트파크를 다녀온 남모(28)씨는 “오전 10시에 대기를 걸었는데 4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낮 12시쯤에는 아예 예약이 마감됐다고 하더라”고 귀띔했다.

불황의 시대에 디저트가 이토록 흥행하며 스몰럭셔리로 입지를 굳힌 것은 왜일까. 손바닥만 한 케이크가 2만원에 육박해도 기꺼이 지갑을 열게 만드는 디저트의 매력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즐거운 경험’, 그리고 ‘인증사진을 공유하고 싶게 만드는 비주얼’.

화려한 디저트로 채워진 진열장을 보는 것 자체가 즐거운 경험으로 간주된다. 달콤한 향, 다채로운 색감, 미적 경험을 충족시킬 만한 디자인까지 더해지면서 경우에 따라 일종의 미술품 전시를 경험하는 기분까지 들게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의 호황 또한 스몰럭셔리로써 디저트의 가치를 높인다. 무엇보다 공유하고 싶은 비주얼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핫플인 경우 그 매력도는 더 올라간다. 차별화된 경험에 대한 설명이 한 장의 사진으로 대체된다. 오픈런이나 장시간 웨이팅이라는 지난한 과정을 거쳐 ‘마침내 해냈다’는 나름의 서사가 사진 한 컷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디저트가 핫플레이스와 만나면 강력한 시너지를 낸다. 스위트파크의 흥행도 43개 디저트 맛집을 불러 모은 곳이 ‘신강’(신세계 강남점을 부르는 애칭)이기 때문이었다. 서울의 핫플은 프랑스나 일본 맛집의 ‘해외 1호점’ 유치도 가능하게 할 정도가 됐다. 신세계 강남점, 더현대 서울, 롯데월드몰은 20~30대의 핫플인 동시에 맛집 집합소이기도 하다.

롯데월드몰은 지난해 ‘런던 베이글 뮤지엄’과 ‘노티드’를 유치하며 디저트 성지로 자리매김했다. 서울 종로구에서 시작한 런던 베이글 뮤지엄은 그간 백화점 입점은 하지 않으며 나름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롯데월드몰에 들어섰고, “백화점에 입점하면 그 맛집은 내리막길이다”라는 통념을 부쉈다. 런던 베이글 뮤지엄은 지난해 예약 애플리케이션 캐치테이블에서 ‘웨이팅(대기) 1위’ 맛집에 등극했다.

지난해 3월 롯데월드몰에 입점한 도넛 브랜드 ‘노티드’는 캐치테이블 웨이팅 3위를 차지했다. 롯데월드몰의 ‘노티드 월드’는 월평균 12만명, ‘런던 베이글 뮤지엄’은 월평균 15만명 이상이 방문했다.

더현대 서울은 지난해 9월 ‘테디뵈르 하우스’의 오픈으로 관심을 모았다. 미쉐린 출신 셰프의 크루아상 전문점인 테디뵈르 하우스는 이국적인 인테리어와 프렌치 스타일의 메뉴로 소셜미디어에서 뜨거운 반응이 쏟아졌다.

용산 프레첼 전문점 ‘브래디포스트’, 약과 전문점 ‘골든 피스’를 입점시키며 디저트 마니아들을 설레게 했다.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더현대 서울은 20~30대를 공략하기 위해 식품관 매장 3분의 1 이상을 베이커리·디저트로 채웠다.

디저트 불패 신화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디저트는 20~30대가 백화점을 찾게 만드는 핵심 콘텐츠”라며 “점포의 매출 시너지 효과도 있기 때문에 업계의 맛집 유치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