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을 건 충신 268명과 함께하는 조선 왕릉
대한민국 곳곳에 숨겨진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 두 눈으로 직접 보고, 두 발로 직접 걸으며 발견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문화유산 애호가가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가감없이 전해드립니다. <기자말>
[박배민 기자]
📌 영월 단종 장릉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90
문화유산: 단종 장릉 (UNESCO 세계문화유산 '조선 왕릉' 중 1기)
장릉 연대:
1457년 단종 사망 및 암매장
1516년 중종이 단종 묘에 첫 제사를 지냄.
1541년 영월군수 박충원이 종종의 명으로 봉분 조성.
1580년 선조가 석물(장명등, 표석 등)을 세움.
1698년 숙종이 노산군을 단종으로 추존하며 노산군묘를 '장릉'으로 명명.
1726년 영조가 엄흥도 정려각 조성.
1791년 정조가 장판옥, 배식단 설치.
탐방일: 2024년 1월 21일
청령포에 이어 장릉으로
설을 맞이하여 가족과 함께 떠난 당일치기 영월 여행은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이었다. 문화유산에 큰 관심은 없던 가족들은 청령포 방문 후 체력이 크게 저하됐지만, 여행의 방향은 결국 운전대를 잡은 내 의지대로 정해졌다.
가족들을 편히 쉴 수 있는 카페에 내려주고 홀로 장릉에 가려는디, 예상 외로 체력이 떨어진 어머니가 "지금 아니면 영월에 언제 또 올까, 왔을 때 가보자"며 나를 뒤따라 왔다.
단종역사관
장릉 권역에 들어서자 우리를 가장 먼저 맞이한 것은 단종 역사관이었다. 역사관에서는 단종의 얼굴을 추측해서 그린 어진(임금 초상화)과 생애를 간략히 조망할 수 있었다. 이 초상화에는 표준 영정이라고 되어 있고 실제로도 공인 표준 영정(100호)이지만, 현존 자료 중에는 단종의 실제 생김새를 알려주는 어떠한 시각적 단서는 없다. 작가의 상상력이 크게 반영된 작품이기에 대략적인 인상 정도만 참고하면 된다.
▲ 엄흥도 정려각 전경 |
ⓒ 박배민 |
충신 엄흥도
장릉 능침(임금이나 왕후의 무덤)으로 향하는 길은 두 갈래였다. 하나는 재실(왕릉 관리를 위해 관리가 지내던 곳)을 지나는 평지 길이고, 다른 하나는 능선을 따라 올라가는 산길이었다. 오래 걷기 힘들어 하는 어머니가 동행했기에 평지 길을 택했다. 단종 역사관, 재실, '엄흥도 정여각'이라 명명된 비각(비석을 보호하기 위한 집)이 산 아래 나란히 어깨동무하고 있었다.
정여(旌閭)는 충신이나 효자처럼 뛰어난 인물을 칭찬한다는 뜻이었고, '엄흥도'라는 이름은 난생 처음 듣는 이름이었다. 비각에 담장을 두르고 심지어 홍살문까지 세웠으니 겉모습만으로도 엄청난 위계를 갖춘 비각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 엄흥도에 관한 이야기가 담긴 <국조인물고> |
ⓒ 한국학중앙연구원·김형수(공공누리 제1유형) |
때는 1457년. 당시 영월에는 '엄흥도'라는 호장(지금으로 치면 지역의 고연차 관리직 공무원 정도)이 살고 있었다. 단종은 작은아버지 세조가 내린 사약을 말미암아 삶을 마감하게 되고 시신은 강에 버려진다.
세조가 단종의 시신을 건드리는 자는 삼족을 멸하겠다 엄포를 놓으니, 그 누구도 시신 수습에 엄두조차 내지 못 한다. 시신마저 비참하게 내버려둘 수 없었던 엄흥도는 용기를 내 단종의 시신을 수습하고, 비밀리에 장례를 치른다.
300년이 흐른 순조대에 와서 엄흥도는 공조판서(1833)로, 고종대에 충의공(1876)으로 임명되며 충심을 치하받게 된다.
▲ 배식단을 둘러 보는 일행 |
ⓒ 박배민 |
▲ 장판옥의 위패 중 하나 |
ⓒ 박배민 |
정자각 쪽으로 이동하면서, 여타 조선 왕릉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구조물을 만난다. 바로 배식단(配食壇)과 장판옥(藏版屋)이다. 장판옥은 단종을 위해 끝까지 충성을 지키며 목숨을 바친 충신 268인의 위패를 모셔 놓은 3칸 건물이었다. 268위에는 안평대군, 금성대군, 사육신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 영릉 영천에서 바라 본 정자각. 사진 기준 왼쪽 상단에 능침이 있다. |
ⓒ 박배민 |
배식단과 장판옥을 뒤로 하고 정자각으로 이동한다. 보통의 왕릉은 정자각과 왕릉 사이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어느 정도 완만한 경사를 만들어 내는 편인데, 장릉은 한 눈에 봐도 특이했다.
▲ 능침에서 내려다 본 제향 영역 |
ⓒ 박배민 |
여행을 끝낸 후에도 궁금증이 가시지 않아 자료를 찾아 보았다. 기록(홍재전서弘齋全書)에 따르면 엄흥도가 단종을 처음 암매장한 곳이 영월 북쪽에 있는 가문의 선산 '동을지'라고 전해지는데, 동을지가 바로 이 지점이었던 것 같다. 이후 중종대(1541) 영월군수 박충원이 매장지를 묘역으로 조성하면서 현재 위치로 굳어진 듯했다.
▲ 산등성이를 따라 능침으로 향하는 길 |
ⓒ 박배민 |
▲ 장릉의 능침 |
ⓒ 박배민 |
▲ 서울 정릉의 능침. 봉분 주위에 두른 병풍석과 난간석이 능에 화려함을 더한다. |
ⓒ 한국관광공사(공공누리 제1유형) |
"배민아, 여긴 칼 든 사람(무인석)이 없는 것 같아."
▲ 단종의 무덤을 정비한 박충원을 기리는 비(1973년 제작). 단종 장릉 내에 위치. |
ⓒ 박배민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극우 적폐세력이 돌아왔다
- [단독] 임태훈 컷오프, 심사위원 '사퇴'... "민주당 김대중-노무현 역사 부정"
- 전태일 들러리로 세우고 이렇게까지... '조선'의 숨은 속내
- 무자격 심의위원, '바이든 날리면' 중징계 참여
- "손으로 쌀을 300번 씻어요" IT맨들이 만드는 막걸리
- "세계시장은 RE100인데 또 '원전' 짓겠다니…윤 정부의 미친 짓"
- 방역전문가 이재갑의 탄식 "학생 보호못한 의대 교수, 자격없어"
- 노인이 노인 모시는 고령사회, 이혼 사유까지 되다니
- 중1 아이 엄마인데요, 윤상 아드님 감사합니다
- [속보] 국힘, '돈봉투' 의혹 정우택 공천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