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 가격 ‘찔끔’ ‘자주’ 올린 기업들…고물가 부추겼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 가격 조정 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인상·인하 빈도, 할인 등 일시적 조정 제외)는 월평균 11% 수준(2018~2021년)에서 15.6%(2022~2023년)로 큰 폭 상승했다. 가격 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 조정 기회 가운데 실제로 기업이 인상·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을 말한다.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 가격 유지 기간이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렸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한 해 약 두 번 올렸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A시리얼 제품은 2019~2021년에는 가격 변동이 거의 없었는데, 2022년 들어 두 차례나 인상됐다. B라면은 2018~2021년까지 가격 인상은 1차례에 그쳤으나 2022~2023년의 경우 기준 가격이 3차례 뛰었다.
가격을 한 번 올릴 때 인상률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큰 차이는 없었다.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민감도, 경쟁 제품으로의 대체 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한 결과다.
한은은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오를 때 개별 품목의 가격 인상 빈도도 약 1%포인트 오른다고 분석했다. 특히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유가 상승 등 같은 비용 상승 충격에도 기업들이 인상 빈도를 더 늘려, 그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됐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고민정, 최고위원직 사퇴...민주당 집단 탈당 움직임도 - 매일경제
- AI발 반도체 ‘빅뱅’…K반도체, 기회·위기 요인은 - 매일경제
- “파두보다 심하네”…알체라, 기술특례 잔혹사 전철 밟나 - 매일경제
- 이준석 “개혁신당 탈당 러시 류호정 때문...사상 좋아서 영입한 거 아냐” - 매일경제
- 병은 부르고뉴인데 보르도에서 만들었다? [고재윤의 스토리가 있는 와인] - 매일경제
- 신형 제네시스 G80 ‘역대급 진화’ [CAR톡] - 매일경제
- 칩 설계 역량 열위…이재용 회장 이사회 복귀 지연 - 매일경제
- S&P, 미래에셋·한투증권 등급전망 하향 조정…왜? - 매일경제
- “아침에 빵 먹으면 못생겨져” 무슨 근거길래 - 매일경제
- 상폐 결정 이틀 만에 300% 뛰었다...김치코인 ‘썸씽’ 투자 주의보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