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박혜연 석사, 물 재이용 공정 오염 억제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대 석사 졸업생 박혜연씨(생물공학과.
지도교수 이기백)가 물의 재이용 공정에서 생기는 생물오염에 대한 효과적 억제기술을 개발했다.
전남대는 지난달 석사과정을 마친 박씨가 분리막 생물반응기의 물 재이용 공정에서 표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오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세균의 AI-2 쿼럼센싱 억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물과 오랜 기간 접촉된 환경에서 고체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돼 장치를 부식시키거나 오염시켜 공정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대 석사 졸업생 박혜연씨(생물공학과. 지도교수 이기백)가 물의 재이용 공정에서 생기는 생물오염에 대한 효과적 억제기술을 개발했다.
전남대는 지난달 석사과정을 마친 박씨가 분리막 생물반응기의 물 재이용 공정에서 표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오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세균의 AI-2 쿼럼센싱 억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쿼럼센싱(QS)은 ‘신호 물질을 이용한 미생물 간의 대화’로, 개체 수가 정족수를 넘어 신호 물질 농도가 역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생물막 형성, 병원성 발현 등과 같은 집단행동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조절되는 생물막 형성은 전체 세균성 질병의 65%와 관련돼 있다. 물과 오랜 기간 접촉된 환경에서 고체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돼 장치를 부식시키거나 오염시켜 공정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박씨는 세균의 AI-2 쿼럼센싱 신호는 그람음성 세균과 그람양성 세균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범용신호로 이를 억제하면 고체 표면에 생기는 생물막 형성을 막을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했다.
박씨의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기초연구실의 지원을 받았다. 국제학술지인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JCR 상위 3.2%, IF 15.1)에 발표됐다.
이기백 지도교수는 “향후 공학, 의학, 약학 등 생물오염과 연관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등학교는 5년만, 18세에 결혼”… 중국의 저출산 대책
- 황선홍호, 이강인 징계 없이 안고 간다… “속죄하는 맘으로 준비”
- “죽으란 건가”…고속도로 버려진 사모예드 2마리 [영상]
- “의사님 가족은 프리패스”… 의료대란 와중 폭로에 시끌
- “환자 진료에만 집중”…의료대란에 전해진 이국종 근황
- ‘굶주려 뼈만 앙상’…가자 참상 알린 10세 소년 하늘로
- 탄자니아에서 바다거북 고기 먹고 9명 사망…‘이 병’ 뭐길래
- ‘금값’된 과일·채소에 연초 식료품 물가 6.7% ‘지붕킥’
- “자율형 살상 로봇, 10년 안에 등장”… AI 대부의 경고
- ‘국민 과일’ 사과의 위기… 수입금지에 재배도 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