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산양의 죽음... 환경부에 묻습니다
[정수근 기자]
▲ 강원도 태백과 경북 봉화 접경지역 강변에서 만난 천연기념물 산양. 이 기품 있는 모습을 보라.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지난 8일과 9일 천연기념물 산양을 세 번이나 만났다. 야생동물을 좋아하는 기자는 기품 넘치는 산양을 언제 한번 알현하려나 오매불망했는데, 이틀간 세 번이나 목격한 것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기도 한 산양은 정말 흔치 않은 존재다. 인공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깊은 산중에 살기에 그곳에 찾아가지 않는 이상 만나기 어렵다. 기자가 사는 대구만 해도 깊은 산중이라고 부를만한 곳이 없어서 산양을 만났다는 이야기를 주변에서 들은 적이 없다.
산양과의 세 번의 만남과 영풍석포제련소
▲ 승부역과 양원역 사이 낙동강변에서 만난 어린 산양의 주검. 왜 죽었을까?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이틀 사이 산양의 삶과 죽음을 모두 목격한 흔치 않은 시간이었다. 그만큼 이곳은 오지 중의 오지란 이야기다. 인간의 공간이라기보다는 야생의 공간에 더 가까운 곳이다. 그런데 이곳엔 영풍석포제련소가 들어와 있다. 공교롭게도 기자는 산양을 제련소 상류에서 한 번, 하류에서 또 한 번 봤고 더 하류에서는 산양의 죽음을 목격했다. 이 상황을 종합하면 제련소 구간을 제외하면 모두 산양이 출물하는 첩첩산중이란 이야기다.
이 공장은 1970년에 들어섰다. 벌써 반세기가 훌쩍 넘었다. 당시의 이곳은 지금의 상황과는 또 다른 오지 중의 오지였을 것으로 보인다. 낙동강 본류가 흐르는 첩첩산중 협곡에 이질적인 중화학공업단지 수준의 영풍석포제련소가 들어선 것이다.
▲ 경북 봉화군 첩첩산중에 들어선 영풍석포제련소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첩첩산중 오지 중의 오지에 떡하니 들어선 영풍석포제련소. 이 얼마나 이질적 존재인가?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영풍석포제련소와 생명 말살 사태
아연 원광석을 제련해서 아연과 황산을 주로 생산해 부를 챙겨온 영풍석포제련소가 얼마나 위험한 공장인지는 제련소가 있는 석포면에 와보면 알 수 있다. '생명 말살 사태'라 불러도 좋을 만큼 끔찍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 제련소 뒷산의 금강소나무들이 대부분 고사했다. 공장에서 뿜어올리는 아황산가스 때문이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나무들이 말살했고 산 자체가 부식되어 흘러내리고 있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제련소 주변 산지가 무슨 폭격을 맞은 듯 초도화됐다. 제련소에서 뿜어져 나오는 아황산가스 폭탄을 맞고 나무들이 대부분 고사해버린 것이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또 하나 확인할 수 있는 건 수생태계의 악화다. 특히 저서생물의 몰살 사태가 확인된다. 제련소 상류에 바글바글한 다슬기는 제련소를 지나는 순간 완전히 사라진다. 다슬기뿐 아니라 이 정도 계곡에서 발견되기 마련인 하루살이류나 날도래류 등의 저서생물 자체가 없다.
이 공장에서 뿜어져 나오는 오염수가 얼마나 지독하기에 저서생물의 씨를 말려버렸을까. 이 현상은 90km 하류 안동댐까지 이어진다. 이 사태가 제련소발이라는 것은 정부 공식 자료로도 확인된다. 제련소에서 뿜어져 나오는 카드뮴의 양이 하루 22kg(1년에 8030kg)이란 것이 환경부와 민간이 지난 5년 동안 함께 조사한 '낙동강 상류(석포제련소-안동댐) 환경관리협의회' 자료에서 확인된다. 비단 카드뮴뿐일까.
▲ 영풍석포제련소 12킬로미터 하류 낙동강 강바닥 돌을 뒤집었지만 저서생물 하나 없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이번 산양의 죽음이 과연 이같은 사태와 무관할까? 어린 산양의 주검이 목격된 곳은 제련소로부터 15km 하류. 이곳은 다슬기를 비롯한 저서생물이 전혀 목격되지 않는 구간이다. 심지어 물고기도 잘 보이질 않는다.
낙동강으로 내려온 어린 산양은 낙동강물을 마실 수밖에 없고, 이 물에는 카드뮴을 비롯 각종 위험한 중금속 성분이 녹아있을 것이다. 그 물을 계속해서 마시는 것이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를 고민해야 한다.
어린 산양의 죽음, 환경부가 규명하라
기자는 환경부에 산양의 죽음에 대한 사안을 신고할 예정이다. 환경부에 산양의 죽음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 말고 정확한 원인 규명을 해줄 것을 요구한다. 환경부는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고 보전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는 기관이지 않나.
▲ 제련소 8킬로미터 하류에서 목격된 살아있는 산양. 녀석도 낙동강으로 물을 마시러 내려왔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길가에 죽어있는 어린 산양. 철저한 원인규명이 필요하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영풍석포제련소가 들어선 낙동강은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다. 영풍제련소 15킬로미터 하류 낙동강 모습이다. 물은 상당히 맑아보이지만 중금속으로 오염돼 들어가볼 수도 없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영풍제련소 15킬로미터 하류 승부역과 양원역 사이 낙동강의 아름다운모습이다. 이런 비경지에 영풍제련소가 들어서 있는 것이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 영풍제련소 하류 낙동강은 이렇게 비경이다. 이 비경 속에 영풍제련소가 들어왔다.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
덧붙이는 글 | 기자는 대구환경운동연합 활동가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천공항서 벌어진 '전직 장관 추격전'... 결국 "이종섭 도망갔다"
- [오마이포토2024] 인천공항 간 민주당 "윤석열 방탄! 범죄은닉 범인도피"
- 10년 후 대한민국, 이보다 비관적일 수 없다
- 조국 "대법원·대검·감사원, 지방으로 이전해야"
- 출판계 예산 삭감에 직격탄을 맞았다
- '스페이스 공감' PD "관객 덕에 버틴 20년, 섭외 1순위는 이소라"
- 200년 지나 발견된 아들의 물건, 그건 아버지 향한 마음이었다
- 민주당, 부평을 박선원 공천... 이동주·양기대·권인숙 경선 탈락
- 더불어민주연합 시민단체몫 비례후보, 전지예·김윤·정영이·임태훈
- 본격 '심판론' 띄운 이재명... "필사즉생 선거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