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농업을 전공한 아들과 농사를 짓습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동현 기자]
경칩이 지나고 농부의 마음이 바빠지기 시작했다. 다음 달 파종할 벼 품종들을 확인하고 겨울을 견뎌낸 논의 상태를 살피며 올해 농사를 머릿속에 부지런히 그려본다.
올해도 지금까지 고수해 온 원칙을 지키며 제초제 한 방울 뿌리지 않는 유기농 벼농사를 지을 예정이다. 달라진 점이라면 큰 아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일 년 농사의 전 과정을 함께 한다는 것, 동지가 생긴다는 일은 참 기쁜 일이다.
농사를 짓는 것이 단순한 반복이 아님을 깨닫고 유기농 농사를 지켜가는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아들과 함께 지난달 27일 농부시장 마르쉐가 주최하고 파타고니아가 후원하는 '지구농부포럼' 행사에 참석했었다.
▲ 어린시절부터 친환경생태농업에 함께 했던 두 아들 초등학교 시절부터 섬진강가 곡성 장선리 들녘에서 아버지의 지향점에 함께 한 두 아들들 논에서 잡초를 뽑고 있는 모습 |
ⓒ 이동현 |
큰 아들은 몇 년 전부터 환경을 위해 비즈니스를 한다는 파타고니아의 방식에 깊이 감명 받고 파타고니아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다큐, 도서 등에 깊이 매료되어 있었다. 아버지인 내가 19년째 유기농으로 쌀농사를 짓는 철학을 곁에서 어렴풋하게 이해하고 있었는데, 파타고니아의 철학을 담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접하면서 유기농, 친환경 농업에 확신을 갖기 시작했다고 한다.
▲ 재혁이가 꿈꾸는 비지니스 모델을 실천하는 기업 "파타고니아" 김광현부장과 나란히 아들 재혁이가 대한민국에 생태와 환경을 진심으로 고민하고 친환경생태농업을 지향하는 소농과 관련 조직을 후원하는 비즈니스 모델기업 "파타고니아" 환경팀장을 만나 자신을 소개하고 책 사인도 받고 사진도 한장 남겼다 |
ⓒ 이동현 |
▲ 농생태학에 권위자인 미겔 알티에리 교수의 발표 국제적으로 농생태학의 권위자인 미겔 알티에리 교수의 발표속에서 우리나라의 유기농업을 비롯한 친환경 생태농업 방향성과 정부 정책의 개선 점을 생각하게 했다 |
ⓒ 이동현 |
두 번째 발표는 이시도르 지속가능연구소의 유병덕 소장이 '생태농업실천농가의 온실가스 배출 및 생물다양성 실태조사'에 관해 발표를 했다. '기후 변화 대응과 생물 다양성을 위해 어떤 농업 방식이 적합한가?'라는 가설에서 시작된 이번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는 생태농가의 경우 생물다양성에서는 우월하나 온실가스 배출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었다.
생태농업의 실천이 탄소, 메탄가스 배출과 같은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정보를 넘어 생물 다양성을 지키는 생태계 수호자로서의 역할과 선순환의 효과까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과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남긴 연구였다.
지역별 토양의 특성, 유기물 함량, 날씨, 친환경 생태농업을 실천한 현장 기간과 농사법 등을 좀 더 오랜 기간 비교 분석하며, 긴 호흡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연구로 발전해야 이 연구의 결과가 더 유의미해질 수 있지 않을까.
▲ '생태농업실천농가의 온실가스 배출 및 생물다양성 실태조사'발표를 듣고 질문을 했다 이시도르 지속가능연구소의 유병덕 소장이 발표한 '생태농업실천농가의 온실가스 배출 및 생물다양성 실태조사' 내용에 대한 시민기자인 내가 관련해서 질문을 던졌다 |
ⓒ 이동현 |
점심 식사 후 2부에서는 농촌진흥청 유기농업과에서 한국재생유기농업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발표와 지구농부로서 삶을 실천하고 있는 농부들의 이야기로 이어졌다. <우리가 농부로 살 수 있을까>, <농사가 재미있어서>라는 책으로 알고 있었던 김신범∙안정화 농부의 '무경운 농사 7년 기록을 통해 보는 소규모 자연농 텃밭운영' 이야기는 정말 매력적이고 흥미로웠다.
▲ '무경운 농사 7년 기록을 통해 보는 소규모 자연농 텃밭운영'을 발표하는 김신범, 안정화 농부 '우리가 농부로 살 수 있을까', '농사가 재미 있어서'라는 책으로 알고 있는 김신범-안정화 농부의 "므경운 농사 7년 기록을 통해 보는 소규모 자연농 텃밭운영"이야기를 들었다 |
ⓒ 이동현 |
도시인으로 살아가던 두 사람이 농촌이라는 낯선 환경에 천천히 적응하며, 다양한 작물들의 특징과 토양 환경을 배우고 기록한 과정이 감동적일 뿐만 아니라 존경스럽기까지 했다. 젊은 시절 나도 수첩 가득 빼곡하게 일기를 쓰고, 연구 노트를 작성했던 그 시절이 떠오르면서 익숙함에 놓치고 있는 지금의 내 모습을 반성해 볼 수 있었다.
▲ 포럼 발표자들의 이야기에 심취해 있는 아들 재혁 대학시절 이후 농업관련 포럼과 현장을 쫓아 다니며 농업의 의미와 가치를 알아가고 있는 재혁이의 포럼 듣는 모습이 행복해보인다 |
ⓒ 이동현 |
하루 종일 포럼에서 빛나는 눈빛으로 강연 발표자들의 내용을 열심히 기록하고 있는 아들의 모습을 보며 젊은 날 심포지움과 학회를 부지런히 다니며 고군분투했던 나를 추억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유익한 미생물을 연구하기 위해 전국의 농장을 쫓아다니며 농부들의 노하우를 열심히 듣고, 농장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농작물을 채취해와 연구실에서 원인을 찾으며 밤을 새는 것이 일상이었던 그 시절의 내가 있었기에 생태농업을 지향하는 우리 회사의 철학을 세우고 지금까지 지킬 수 있었다. 지구농부포럼에서 듣고 배운 것들이 아들에게도 좋은 자양분이 되었으리라.
▲ 지구농부 포럼을 마치고 내려오기 전 아들과 잘 들었다는 표시로 사진을 남겼다 지구농부 포럼에 참여하며 아들과 이 포럼을 준비해준 농부시장 마르쉐와 파타고니아에 고마운 마음을 전하며 섬진강가 곡성으로 내려왔다. |
ⓒ 이동현 |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개인 페이스북과 네이버 등에 연재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