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혜의 트렌드2024]힙한 동네에는 페르소나가 있다
대체 불가능한 ‘우리만의 것’ 필요
성수동 등 사람 불러모으는 동네
‘시그니처 스토어’가 핵심 역량
소멸 위기 지역 우아한 유턴 해법
"한남동에는 ‘마르디 메크르디’를 입고 가야 하고, 홍대에서는 ‘디스이즈네버댓’을 입어야 해요."
얼마 전 학생들에게 들은 얘기다. 미니멀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가 한남동과 어울리고, 스트릿 감성을 담은 디즈이즈네버댓은 홍대의 동네 분위기와 맥을 같이 한다는 뜻이다. 비슷한 맥락으로 이런 얘기도 있다. "안국동에는 재킷을 입고 가야 하고, 성수동에는 한여름에도 긴 부츠와 하늘하늘한 원피스를 입고 가야 한다." 안국동에는 한옥 콘셉트로 지어진 맛집과 카페가 많아서 재킷이나 셔츠를 입고 가야 사진이 예쁘게 나오고, 성수동에서는 힙플답게 스타일리시한 보헤미안 룩을 입어야 잘 어울린다고 한다. 좀 과장해서 표현하자면 하루 안에 성수동을 갔다가 홍대를 거쳐 안국동으로 이동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동네마다 입고가야 하는 브랜드와 일종의 ‘드레스코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동네가 스타일을 입고 있다. 그곳에서만 할 수 있는 콘텐츠, 먹을 수 있는 맛집, 모이는 사람들의 특성이 한 데 어울려 독특한 ‘페르소나’를 지닌 동네로 진화한다. 본래 ‘페르소나’란 고대 그리스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의미한다. 소비자학에서는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할 때 ‘이것을 어떤 사람이 사용할까?’라는 질문을 통해 타깃 고객을 상세하고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을 지칭한다. 도시에 응용해보자면 도시 페르소나란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간에 그 도시를 구성하는 라이프스타일, 관심사, 가치관, 취향, 소비 행태 등이 뾰족해지고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동네가 페르소나를 갖는다는 것은 두 가지의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소비의 관점에서 지역을 구분하는 기준이 달라진다. 예전에는 부자 동네와 가난한 동네 즉, 상하를 축으로 하는 계층으로 구분이 되었다면 수평적 기준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릿문화를 지향하는 동네,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하는 지역, 보헤미안 가치관을 표방하는 도시 등 각자 차별화된 문화와 콘텐츠를 지닌 도시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뜻이다. 스트릿문화와 보헤미안 가치관은 수직적 관계가 아니다. ‘스타일’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위계로 도시를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스타일로 동네를 인지하게 되었다는 의미다.
둘째, 비슷한 맥락에서 사람들이 지역을 인식하는 단위가 작아지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강동구보다 성수동이 유명하고 성수동보다 연무장길이 더 많이 언급된다거나 경의선길은 알지만 그것이 마포구에 있다는 사실은 모르는 식이다. 이에 대해 한 도시계획 전문가는 ‘서울 안에 서울이 100개 있는 느낌’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이제 소비자들은 시-구-동으로 구성된 행정단위의 위계로 도시를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질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작은 거리나 대표 이미지를 인지하게 되었다는 의미다. 도시가 특성을 기준으로 세분된다는 의미에서 성수동도 다 같은 성수동이 아니다. 성수의 다양한 동네 콘텐츠를 소개하는 인스타그램 계정 ‘제레박의 성수교과서’에는 흥미로운 사진이 하나 게시된 적이 있다. 서울숲은 커피 마시러 가는 성수동, 뚝섬은 술 마시러 가는 성수동, 성수구길은 노포 부수러 가는 성수동, 송정동은 ‘여기 성수동 맞아?’하는 성수동. 이런 식으로 성수동이 여러 갈래로 세분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목적형 방문’으로 소비방식이 변화한 데 원인이 있다. 2010년대 초반부터 호텔 업계에서는 데스티네이션 호텔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Destination은 명사로서 목적지, 도착지라는 의미를, 형용사로서 ‘사람들이 특별히 찾는’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데스티네이션 호텔은 ‘호텔 자체가 여행의 목적지가 되는 것’ 특정 호텔에 묵기 위해 여행하는 것, 호텔이 여정의 일부가 아닌 여정의 중심이 되는 여행을 의미한다. 지역 소비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된다. 특정 지역에 방문한 김에 맛집을 가는 것이 아니고, 해당 맛집이 그 지역에 방문하는 ‘목적’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뜨는 동네에서는 사람을 불러 모으는 ‘시그니처 스토어’가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는 추세다. 많은 사람은 성수동 부흥의 시작점을 ‘대림창고’와 카페 ‘어니언’으로 꼽는다. 두 시그니처 스토어가 성공하면서 공장과 창고의 골조를 그대로 두고 건물 안의 콘텐츠를 변주하는 것이 핫플의 공식으로 자리 잡았다. 제주도의 탑동도 주목할 만하다. 롱라이프 디자인을 추구하는 브랜드 ‘디앤디파트먼트’, 코오롱 스포츠의 친환경 프로젝트 공간 ‘솟솟리버스’, 버려진 목욕탕을 쇼룸으로 활용하는 ‘프로젝트 목욕탕’이 들어서면서 거리 자체가 ‘재생’이라는 ‘스타일’을 갖게 되었다.
"100개의 도시는 100개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동네가 페르소나를 입는다는 것은 결국 타지역에서 대체 불가능한 ‘우리만의 것’을 찾는 일이다. 하루가 다르게 지방소멸의 위기가 몰려오는 지금, 우리 동네·우리 지역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쇠락한 도시의 우아한 유턴을 위해 가장 먼저 답해야 할 질문이다.
최지혜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일간 '빅맥'만 썩지 않았다…햄버거 회사가 답한 그 이유[햄버거 썩히기]④ - 아시아경제
- 4년간 女 5명과 결혼·동거…"드라마도 이렇게 못 써" - 아시아경제
- 라면·김밥 주문 후 동전 세더니 '주문 취소'한 모자…"대신 계산했는데 오지랖인가요?" - 아시아
- "靑 가면 죽는다 경고했는데 가겠나"…명태균 녹취파일 추가 공개한 민주당 - 아시아경제
- 이혼 전문 변호사 "율희, 양육권 소송 승산 있다" - 아시아경제
- "설거지·가사도우미로 月160만원 벌며 살아보니" 최강희 고백 눈길 - 아시아경제
- '트럼프 측근' 된 머스크, 美 대선으로 29조원 벌어 - 아시아경제
- '소녀상 모욕' 美유튜버 "내 사과 받아달라" 태도 돌변 - 아시아경제
- "짐 싸 캐나다 간다" 해리스 지지층 '캐나다 이주' 검색량 급증 - 아시아경제
- "감옥 보내고 수백만명 구하자"…北 대표부 건물에 걸린 '죄수 김정은'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