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가뭄 中企·소상공인’에…단비 같은 자치구 중소기업육성기금
자치구별 30억~300억원 규모 기금
서울디지털산업단지(G밸리)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김재영(55·가명)씨는 최근 구청에 융자 지원을 신청했다. 자금 사정이 쪼들리던 차에 대출금리가 낮고 4~5년 정도는 안정적으로 자금을 쓸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신청을 서둘렀다. 김씨는 “최근 돈 가뭄이 극심했는데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면 분명 단비 같은 역할을 할 것 같다”고 했다.
서울 각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 지원이 인기다. 담보나 보증서 등이 필요해 대출 문턱이 크게 낮진 않지만,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에게도 대출금리가 파격적이라는 점이 매력적이다. 경기침체 상황이라 올해 신청이 더 몰리고 있다.
금천구 금리 0.8%, 강서구는 최대 3억원까지금천구는 올해 총 50억원을 대출해주기로 했다. 금천구에 주사무소, 사업장을 둔 중소기업(제조업,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사회적 경제기업)이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이달 21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작년 1.5%였던 대출금리를 올해 0.8%로 낮췄다. 금리 0.8%는 구청 업무 대행을 맡은 은행 수수료 수준이다. 대신 더 많은 기업이 융자 혜택을 받도록 업체당 지원 한도를 1억원으로 작년보다 5000만원 줄였다. 우리은행 금천구청지점의 여신 규정에 따른 담보 능력이 있어야 하고, 최근 5년 이내 지원받은 일이 없어야 한다.
금천구는 지난해 35개 중소기업에 49억500만원을 대출해줬다. 금천구 지역경제과 관계자는 “지난해 220개 업체가 신청했지만 요건 등을 따져 35개 업체만 지원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면서 “대출금리 더 낮췄고, 산업단지의 경기 상황도 만만치 않아 올해 신청 업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중 수시 신청을 받는 강서구는 올해 총 60억원을 1.5% 금리 조건에 대출해준다. 중소기업은 업체당 최대 3억원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강서구 지역경제과 관계자는 “경기 상황 때문인지 올해 신청 접수 속도가 작년보다 두 배는 빠른 것 같다”면서 “수시 접수이긴 하지만 신청을 서두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25개 자치구 중 기금 규모가 가장 큰 강남구는 올 상반기에만 120억원을 융자 지원한다. 지난해에는 상반기 200억원, 하반기 100억원 등 총 300억원을 지원했다. 금리는 지난해 0.8%였지만 올해는 2.0%로 높였다.
강남구 지역경제과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컸을 당시 융자 지원액도 늘리고, 금리도 대폭 낮췄었다”면서 “상황에 맞게 융자 규모와 금리를 조정하고 있다”고 했다. 강남구에서는 지난해 상반기 1300건이 접수돼 450건이 실행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공단이 없거나 주거가 밀집한 지역은 자영업 등 소상공인들의 신청이 많다. 노원·종로구 등이 대표적이다. 종로구는 올 상·하반기 각각 15억원씩 30억원의 융자 계획을 갖고 있다. 지난달 22일부터 시작해 이달 8일까지 접수 받는다.
종로구 소상공인지원팀 관계자는 “관내 소상공인 숫자를 6만5000명(곳)으로 추산한다”며 “구 소식지나 동 주민센터 등을 통해 기금 융자 내용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고 했다.
노원구도 기금 융자액을 지난해보다 10억원 더 늘려 올 상·하반기 15억원씩 총 3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육성기금은 ‘지방자치법’과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촉진 등에 관한 법률’,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등을 근거로 기초지자체가 ‘중소기업육성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제정해 마련한 자금이다. 연간 융자액, 금리 등은 구청장이 결정하지만, 지원 대상 선정 등 기금 운용 전반에 관한 내용은 관내 기업인 단체나 경영자협의회,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육성기금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게 돼 있다.
육성기금의 신청·접수는 각 구청 지역경제과 등 관련 부서에서 받는 경우가 있지만 여신 심사 업무를 맡은 구 금고 은행 지점이나 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하는 경우도 있다. 기금을 신청하려면 구청 홈페이지나 해당 구청 지역경제과 등 관련 부서에 미리 문의하는 게 좋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
- 100명에 알렸는데 달랑 5명 참석…결혼식하다 인생 되돌아본 부부 - 아시아경제
- "범죄증거 있으니 당장 연락바람"…대구 기초의원들 딥페이크 협박피해 - 아시아경제
- "번호 몰라도 근처에 있으면 단톡방 초대"…카톡 신기능 뭐지? - 아시아경제
- "언니들 이러려고 돈 벌었다"…동덕여대 졸업생들, 트럭 시위 동참 - 아시아경제
- "'김 시장' 불렀다고 욕 하다니"…의왕시장에 뿔난 시의원들 - 아시아경제
- "황정음처럼 헤어지면 큰일"…이혼전문 변호사 뜯어 말리는 이유 - 아시아경제
- "평일 1000만원 매출에도 나가는 돈에 먹튀도 많아"…정준하 웃픈 사연 - 아시아경제
- 올해 지구 온도 1.54도↑…기후재앙 마지노선 뚫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