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시각]중국 e커머스 대책 서둘러야 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알리익스프레스(알리)를 쓰는 소비자가 손에 꼽을 정도였다.
알리와 테무 등의 공습은 중국산 상용전기차를 떠올리게 한다.
나머지는 자금력이나 영업력으로 봤을 때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중국 e커머스를 감당하기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한 전기버스 정책을 보면 중국 e커머스 대응 준비를 위한 시사점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뒤늦게 보조금 손질
e커머스 대책 마련에 반면교사 삼아야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알리익스프레스(알리)를 쓰는 소비자가 손에 꼽을 정도였다. 한 번 주문하면 몇 달 뒤 도착하는 배송기간 때문이었다. 알리를 사용하는 소비자 사이에서는 '주문하고 잊어버려야 한다'는 말이 정설로 통했다. 한 번은 이런 일도 있었다. 2018년께 이사를 앞두고 3개월 전부터 알리 쇼핑을 중단했었다. 경험상 배송에 석달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이사를 한 뒤 물건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었다. 이사를 하고 한 달이 좀 넘게 지났을까, 갑자기 이전에 살던 집에서 '중국에서 온 물건이 있는데 찾아가라'는 연락이 왔다. 이사 넉달 전에 알리에서 주문하고 잊어버렸던 열쇠고리였다. 배송기간만 5달이 걸린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저렴하다는 기존의 장점은 그대로이며 배송은 몰라보게 빨라졌다. 올해 들어 알리에서 독서대를 하나 주문했는데 3일 만에 도착했다. 싸고, 배송료도 없으며, 3일만에 도착하는 알리를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알리와 테무로 대표되는 중국 e커머스가 무서운 속도로 국내 유통 시장에서 성장 중이다. 판매하는 물건의 안전성과 가품 우려는 여전하지만, 저렴한 가격과 빨라진 배송으로 국내 소비자들을 공략 중이다.
아직까지 정부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e커머스 업체 관계자들과 만나 논의에 나섰지만, 아직 이렇다 할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알리와 테무 등의 공습은 중국산 상용전기차를 떠올리게 한다. 국내 전기버스의 절반 이상은 중국산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등록된 전기버스는 2821대로, 이 중 절반 이상인 1528대(54.2%)가 중국에서 만들어진 전기버스다. 중국산 전기버스 점유율은 2019년 22.2%, 2022년 31.4%로 매년 꾸준히 높아지다 지난해 처음으로 국산차를 넘어섰다. 중국산 전기차는 구매할 때 정부에서 거액의 보조금을 주면서 논란이 됐다. 중국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 국민 세금이 들어가는 것에 대한 반대 여론이 많다. 중국산 전기버스에는 보조금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통상 문제가 얽혀있다.
e커머스 시장도 마찬가지다. 서둘러 방법을 찾아야 한다. 시간을 늦추면 중국산 전기버스와 같은 사태를 맞을 수 있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은 쿠팡이 유일하다. 나머지는 자금력이나 영업력으로 봤을 때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중국 e커머스를 감당하기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한 전기버스 정책을 보면 중국 e커머스 대응 준비를 위한 시사점이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배터리 밀도에 따라서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중국산 전기버스 업체들은 국내 업체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은 LFP 배터리를 사용하는 점을 감안해 중국산 전기버스에 지원금을 줄이겠다는 게 골자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시장의 절반을 위협하자 내놓은 고육지책이다. 하지만 보조금을 줄인 지난해에도 중국산 전기버스는 여전히 잘 팔렸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보조금을 감안해도 중국산 전기버스의 가격은 여전히 낮고, 국내에서 판매량이 많아지자 그간 약점으로 지적됐던 애프터서비스(AS) 등이 강화되면서 경쟁력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한번 시장의 지배력을 확보하면 이를 개선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중국산 e커머스 업체가 막대한 자금력을 투입해 구독형 멤버십을 대대적으로 강화하고 충성 고객층 확보에 주력하면, 우리 기업의 설자리가 없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 서둘러 e커머스 시장 보호책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좋아해서 욕망 억제 못했다"…10대 성폭행한 교장 발언에 日 공분 - 아시아경제
- "화끈한 2차 계엄 부탁해요" 현수막 내건 교회, 내란죄로 고발당해 - 아시아경제
- "새벽에 전여친 생각나" 이런 사람 많다더니…'카카오톡'이 공개한 검색어 1위 - 아시아경제
- '다이소가 아니다'…급부상한 '화장품 맛집', 3만개 팔린 뷰티템은? - 아시아경제
- "ADHD 약으로 버틴다" 연봉 2.9억 위기의 은행원들…탐욕 판치는 월가 - 아시아경제
- 이젠 어묵 국물도 따로 돈 받네…"1컵 당 100원·포장은 500원" - 아시아경제
- "1인분 손님 1000원 더 내라" 식당 안내문에 갑론을박 - 아시아경제
- 노상원 점집서 "군 배치 계획 메모" 수첩 확보…계엄 당일에도 2차 롯데리아 회동 - 아시아경제
- "배불리 먹고 후식까지 한번에 가능"…다시 전성기 맞은 뷔페·무한리필 - 아시아경제
- "꿈에서 가족들이 한복입고 축하해줘"…2억 당첨자의 사연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