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엔비디아 차세대 GPU 들어갈 반도체 양산 시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에 들어갈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양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하면서 26일(이하 현지시간) 주가가 4% 이상 상승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자사 양산제품 HBM3E가 경쟁사 제품보다 전력 소비가 30% 적으며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구동 칩에 대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에 들어갈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양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하면서 26일(이하 현지시간) 주가가 4% 이상 상승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자사 양산제품 HBM3E가 경쟁사 제품보다 전력 소비가 30% 적으며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구동 칩에 대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차세대 H200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이 반도체를 사용할 예정이다. H200은 2분기에 출하를 시작해 현재 엔비디아 주력 제품인 H100을 대체할 전망이다.
무어 인사이트 앤 스트래티지의 앤셸 사그 애널리스트는 "HBM 반도체 수요가 AI 분야에서 급증하고 있어 이번 대량생산은 마이크론에 큰 기회"라고 평가했다.
현재 엔비디아는 주로 SK하이닉스로부터 HBM 반도체를 공급받고 있다. 투자자들은 마이크론이 다른 분야에서의 저조한 실적을 새 제품으로 만회하길 기대하고 있다.
사그 애널리스트는 "SK하이닉스는 2024년 재고를 이미 소진했기 때문에 또 다른 반도체 공급사를 확보하면 AMD나 인텔, 엔비디아와 같은 GPU 제조업체는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BM은 제조에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반도체로, 마이크론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제품이 될 전망이다.
마이크론은 2024 회계연도에 '수억 달러'의 HBM 매출이 있을 것이며 2025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satw@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전 피겨 국가대표 박소연, 우즈베크 출신 전 피겨 선수와 결혼 | 연합뉴스
- 이하늬, 세무조사서 세금 수십억 대 추징…"고의 누락 아냐" | 연합뉴스
- '양말 기부 천사' 아내 폭행한 공무원…징역 2년 불복 항소 | 연합뉴스
- 멕시코서 K팝 즐긴다는 이유로 교내 따돌림 받아…온라인 공분 | 연합뉴스
- 새신랑의 안타까운 죽음…직장 괴롭힘 장수농협 직원 4명 기소 | 연합뉴스
- 장병 식사비 몰래 계산해준 중년 남성…"옛날 생각이 나서" | 연합뉴스
- 초등생 자녀 2명과 극단선택 시도한 친모 긴급체포 | 연합뉴스
- 수술중 숨진 '홍콩 재벌 3세'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 연합뉴스
- 경로우대 카드로 지하철 타다 적발되자 역무원 폭행 | 연합뉴스
- 눈내린 토론토공항서 착륙하던 美여객기 전복…"최소 15명 부상"(종합)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