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급증하는 ‘김’ 수출, 식품업계 방긋…“품질 체계화는 필요”
다만 제품의 부가가치 현저히 낮아
일정한 등급에 따른 분류 기준 부재 문제
해외에서 국내식품 ‘김’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품질 등급제 구축’의 부재가 우리 김 산업의 발전을 저해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타국 대비 품질이 우수한 제품임에도 세계 시장에서 제 값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액은 30억 400만 달러다. 이는 지난 2022년 기록한 역대 최대치인 31억 5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품목별로 보면 김 수출액이 전년 대비 22.2% 증가한 7억9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글로벌 콘텐츠로 자리잡은 우리나라 영화나 TV예능 등에서 자주 노출되며 세계인들에게 친숙한 음식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특히 김밥이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정부가 국내 김 산업 지원에 두 팔을 걷어 붙이면서 빛을 봤다. 해수부는 수산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지난해 수협중앙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과 ‘수산식품 수출원팀’을 구성해 수출기업을 지원에 나섰다. 해외 바이어 초청 행사를 여는 등 노력을 이어왔다.
현재 김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99%가 생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세계 김 시장에서 한국 김의 시장점유율은 70%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김은 김스낵, 조미김 등의 형태로 세계 100여개 국가에 수출 중이다.
이에 국내 식품 기업들은 올해도 김 수출에 공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대상, 동원, CJ제일제당 등이 대표적인데 이들 기업들은 제품 다각화, 운영채널 확대로 글로벌 시장을 빠르게 강화해 나가고 있다.
대상 관계자는 “최근 김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소비자 니즈 및 시장 트렌드를 반영해 김자반 수출을 늘리면서 현지 메인스트림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비건 인증을 획득한 스낵용 조미김과 해조 후레이크 등 식재료용 김제품 출시도 앞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국내산 김은, 고무적인 수출 규모와 생산량 대비 제품의 부가가치가 다른 국가보다 현저히 낮은 편이다. 이는 김 품질 등급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김은 김밥용, 스낵용 등 다양한데, 이런 제품 분류시 품질 등급에 따른 제품 세분화 기준이 부재하다.
국내 김은 여러 업체에서 대량으로 양식한 물김을 경매사로부터 구매한 후, 제품 분류시 일정한 등급없이 경매사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해 분류한다. 경쟁국인 일본이 반찬용 김과 초밥용 김, 간식용 김 등 종류를 세분화하고 품질 등급 관리에 힘을 쏟는 것과 대조적이다.
일본과 중국의 등급제는 김의 단백질 함량, 빛깔 등 김의 맛과 품질을 결정하는 기준에 따라 감별사가 점수를 매겨 등급을 부여한다. 김은 원초(물김) → 마른김 → 조미김의 형태로 가공되는데, 특히 일본은 마른김 상태의 김에 감별사가 측정한 등급을 붙여놓고 그 등급에 따른 가격으로 마른김을 구매하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바다에서 따온 원초 상태에서 오랫동안 김 사업을 지속해 온 업자들의 직관에 따라 경매가 이뤄진다. 원초를 상온에 내놓고 경매가 이뤄지다보니 경매를 하는 도중에 김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고 이물이 혼입될 수도 있는 환경에 노출돼 있다.
이에 따라 국내서도 중국과 일본처럼 ‘국가가 기준을 품질을 체계화해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돼 왔다. 정부는 물론 학계, 산업계에서 오래전부터 논의된 이야기 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자체 중에 전라남도만 유일하게 자체 시행 중인 상황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일정한 등급에 따른 분류 기준이 없다 보니 해외에서 바이어가 와도 구체적으로 입증하거나 설명할 방법 역시 부재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며 “등급제의 여부에 대한 문제와 효과는 결국 김의 부가가치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물론 국내서도 등급제 부재의 한계를 뛰어넘고 품질 좋은 제품을 만들어 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상그룹은 지난 2017년 국내 최초로 ‘해조류 연구센터’를 구축했다. 11개 항목을 기준으로 원초를 5등급으로 분류하고, 등급별로 ▲김밥용 ▲스낵용 ▲김가루용 ▲어린이용 등으로 나눠서 제품화하고 있다. 한우처럼 AAA+’ ‘AAA’ AA’ A’ ‘B’로 등급을 매긴다.
하지만 이를 전파하고, 일반화 시키기엔 어려운 점이 뒤따른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등급을 체계화시켜 공식화 한 것이 아닌 기업이 자체적으로 규정한 것이어서 바이어 입장에선 공신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업계에서도 정부에 지속적으로 제안을 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산업적인 담화 역시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기존 김 양식장과의 이해관계 상충 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김 등급제는 도매인, 중소업체와 이와 관련된 협회 등의 입장이 다르고.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속도가 붙지고 않고 있다”며 “현재는 질 좋은 김을 싼 가격에 사들여 유통시키거나 생산해서 마진을 붙여서 팔 수 있는데, 등급제를 실행하게 되면 각 등급에 따라 다른 가격으로 사들여야 하고, 또 김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업체의 경우 등급제 시행을 하기 위한 제반 작업들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김 제품 생산업체들은 대부분 중소업체다”며 “일단 지난해 9월에 정부에서도 시행하겠다고 한 부분이 있으니 차차 해결해나가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자살하는지 알겠다”…이재명의 ‘보복 사천’
- 로또1108회당첨번호 '7·19·26·37·39·44'…1등 당첨지역 어디?
- 한국 오는 저커버그 메타 CEO, 이번주 LG 조주완 사장과 회동 추진
- "얼굴이 벌써 완성형?"…750만명 거느린 10세 여아의 진짜 비결
- 전국 253개 중 67개 지역구 여야 대진표 완성…최대 '격전지'는 [정국 기상대]
- 권영세 "윤 대통령 체포 시도, 월권적 부당 행위…공수처·정치판사 부당거래"
- 공수처 "최 권한대행에 경호처 尹 체포영장 집행 협조하도록 명령 요구"
- 대통령실 "관저 무단 촬영한 JTBC·MBC·SBS·유튜버 고발"
- ‘로맨스’ 입은 우주 드라마 ‘별들에게 물어봐, SF ‘잔혹사’ 끝낼까 [D:방송 뷰]
- ‘사실상 트레이드?’ 대한항공·삼성화재, 외인 승부수 통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