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써봤던 폰 중에서 가장 좋았던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나 중학교 때는 핸드폰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내가 써봤던 폰 중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최신형 스마트 폰이 아닌, 군대에서 집으로 첫 전화를 걸었던 공중전화기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김정주 기자]
나 중학교 때는 핸드폰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집전화'라는 것이 있었다. 그것을 통해서 연락을 했다.
각 집마다 전화번호부가 있었다. 친구 이름이 적힌 작은 수첩 같은 개인 전화번호부도 있었다. 그것을 보고 모스 부호 때리듯 번호를 눌러가며 전화를 걸어서 연락을 하곤 했다.
내가 주로 친구네 집에 전화를 거는 경우는 한 가지였는데, 축구를 하자고 할 때였다. 축구를 하려면 대략 22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한데, 당시 나는 그 많은 친구들 집 전화번호를 거의 다 외우고 있었다. 우리 동네는 '842' 혹은 '843'으로 시작되었는데 일일이 다 전화를 돌려서 축구할 수 있냐고 묻고 인원을 체크하고 결국에는 축구를 해내고야 말았다.
친구네 집에 전화를 걸면 일종의 공식과 같은 말이 필요했다.
"여보세요(인트로)."
"안녕하세요(인사)."
"저 ㅁㅁ 친구 ㅁㅁ인데요(자기소개 + 관계성 입증)."
"혹시 (조심스러운 추임새, 이것을 사용하면 예의 바른 것 같은 이미지 +2) ㅁㅁ 있나요?(용건)"
대부분의 전화는 친구들보다는 부모님이 받으시기에 이런 말들은 언제나 필요했다. 고등학교 친구 중에 '강정주'라는 녀석이 있었는데, 별생각 없이 걔네 집에 전화를 걸었는데 그만 이렇게 말하고 말았다.
"안녕하세요, 저 정주 친구 정주인데 정주 있나요?"
강정주네 어머니가 장난 전화하지 말라고 화를 내시면서 끊었던 기억이 있다. 지금 이 말은 이 세계 속에서, 이 세대 안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린 말인 것 같다. 어디서 말할 필요도, 어디서 들을 수도 없게 되어버렸다. 문득 그 말이 그리웠다.
그 시절 어떻게 그 많은 전화번호들을 외울 수 있었을까, 핸드폰이 없었는데도 어떻게 그 수많은 시간들을 보낼 수 있었던 걸까. 사진기도 페이스북도 인스타그램도, 쓰레드도 없었는데 왜 그 시절은 세월이 갈수록 선명해져만 가고, 좋아요가 없어도 눈부시게 빛나는 걸까.
하루 종일 그 말이 생각났다. 멸종되어버린 것과 같은 그 말속에는 그 시절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어딘가에 전화를 걸어 그 말을 다시 살려주고 싶을 정도로 그리웠다.
지금 쥐고 있는 핸드폰 속에는 수백 개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있다. 언제든 그 사람과 개인적인 통화를 할 수 있고, 메시지를, 카톡을 보낼 수도 있다. 무한한 소통의 장이 열려 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그런 무한의 소통의 장의 열림이야말로, 존재와 존재 사이에 커다란 벽이 된 건 아닐까. 소통의 장이 유한했던 시절에 존재했던 소중함이 점점 희미해져 가는 듯하다. 서로에게 연결되고 싶다는, 서로에게 닿고 싶다는, 그 간절함과 아련함들은 점점 찾기 어려워지는 듯하다.
내가 써봤던 폰 중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최신형 스마트 폰이 아닌, 군대에서 집으로 첫 전화를 걸었던 공중전화기이다. 익숙했던 것들에서 완전히 차단되었던 그 고통 속에서 몇 주 만에 들었던 어머니의 "여보세요", 존재와 존재 사이의 연결됨의 아름다움이란 아마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 공중전화 |
ⓒ pexels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쫓겨났던 백년가게, '을지오비베어'가 을지로에 돌아왔다
- 앞을 못 본다는 충격에 짜증을 달고 살다가
-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외국인 '딱지'가 붙는 사람들
- 청나라에 시집간 조선 공주의 기구한 운명
- 맥주에 이 식물을 넣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 복지부 최후통첩 "군대 가면 더 잘 돼? 꼼꼼하게 알아봐라"
- '파우치 대담' 무비판, '정보 비공개' 무보도한 언론들
- 기후위기부터 쓰레기소각장까지... 마포구 정치인들은 이렇게 답했다
- 우크라 "러, 북한 탄도미사일 최소 24발 발사... 2발만 정확"
- 러시아 야권 이끌던 '푸틴 정적' 나발니, 감옥서 의문사